국립무용단, 설날 연휴기간 ‘2025 축제 祝·祭’ 해오름극장 공연
전통춤 본연 맛 살린 신명나는 춤사위 7개 작품 3장 걸쳐 펼쳐져
지난해 무용계는 그 어느 때보다 대중에게 뜨거운 관심을 받은 행복한 한 해를 보냈다.
Mnet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스테이지 파이터’에서 남자무용수들이 펼치는 댄스 대결에 대중은 열광했고, 이 여파로 국내 무용 공연은 때아닌 티케팅 전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특히 참가자 중 최종 우승을 차지한 최효종 무용수는 대중이 멀게만 느끼던 한국 무용의 멋을 알리며 아이돌급 인기를 누렸다.
이처럼 대중과 부쩍 친숙해진 우리 춤이 이번에는 을사년 새해를 열어가는 공연으로 관객과 만난다.
국립무용단이 오는 설날 연휴 기간인 29·30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2025 축제 祝·祭’를 공연하는 것. 이번 공연은 설 연휴를 맞은 가족들이 다 함께 ‘푸른 뱀의 해’를 기운차게 열고 모두의 행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즐길 수 있는 우리 춤 잔치다.
이번 공연은 ‘왕을 위한 축제’를 주제로 섬세하고 신명 나는 춤사위가 돋보이는 총 7개 작품이 3장에 걸쳐 펼쳐진다. 한국무용이 생소한 관객도 즐겁게 감상할 수 있게끔 전통춤 본연의 멋을 살린 다양한 소품에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연출이 돋보인다.
1장 ‘구나(驅儺)’는 궁중에서 악귀를 쫓는 의식으로 시작한다. 사귀를 쫓고 경사로운 일을 맞이한다는 의미의 ‘벽사진경(?邪進慶)’은 묵은해를 보내고 섣달그믐을 맞아 지나간 시간을 반성하며 새해를 설계하는 송구영신 의미를 담았다. 남성춤의 담백함에 강인한 멋을 더해 역동성을 극대화했다.
이어지는 2장 ‘연향(宴饗)’은 손님을 불러 잔치를 베풀고 대접하는 장이다. 왕과 왕후의 움직임 속 응축된 힘을 극적으로 표현한 ‘왕의 행차’를 시작으로 절제미가 돋보이는 ‘춘앵전’, 나쁜 기운을 쫓고 상서로운 기운을 맞이하는 ‘처용무’가 펼쳐진다.
마지막 3장 ‘국중대회(國中大會)’는 왕이 주관하는 제천 의식으로 풍년과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왕비의 마음을 담은 ‘태평무’로 막을 연다. 축원덕담으로 시작해 객석과 함께 호흡하며 즐기는 ‘평채소고춤’은 여성 무용수들이 꾸미는 무대가 돋보인다. 축제의 대미는 국립무용단이 새롭게 선보이는 북춤 ‘무고’다.
남성 무용수는 5개의 북으로, 여성 무용수는 3개의 북으로 화려한 장단을 주고받으며 새해 시작을 알린다. ‘땅의 소리’를 담았다고 일컬어지는 북의 울림을 통해 한 해의 행복과 평안을 바라는 마음을 관객에게 전한다.
뱀띠 관객이나 3인 이상 관람객은 티켓 구매 시 3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매·문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로 하면 된다. 사진=국립극장, 노성수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