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2년 국민이전계정 발표
생애주기별 경제적 자원 흐름
17세 4078만 원 최대 적자
43세 1753만 원 최대 흑자
국민 1인당 생애주기별로 17살 때 4000여만 원의 최대 적자를 기록하고 43살에 1750만 원가량의 최대 흑자를 내는 것으로 집계됐다.
노동소득이 43살에 정점을 찍고 줄면서 61살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한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을 26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이에 따르면 소득이 없거나 적은 0~27세까지 적자였다가 28세에 흑자로 진입, 노동소득이 뒷받침되는 60살까지 흑자를 유지하다가 61세에 다시 적자로 전환한다. 유년층은 교육소비, 노년층은 보건소비가 많은 영항도 있다.
1인당 소비는 17살에 4113만 원으로 가장 많다.
1인당 노동소득은 17세 이후 점차 증가해 43세에 4290만 원으로 정점을 찍고 점차 줄어든다.
이에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살에 4078만 원으로 최대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흑자 폭이 가장 큰 나이는 43살, 1753만 원이다.
2021년 기준 17살에 3757만5000원 최대 적자, 46살 때 1823만1000원 최대 흑자였는데 1년 전보다 적자 폭은 늘고 흑자 폭은 줄었다.
2010년 이후로 살펴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이다. 적자 재진입 연령은 56세(2010년)에서 61세(2022년)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 은퇴가 늦어지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일을 하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가구 내 이전, 정부의 공공이전 등을 통해 메워진다. 흑자 발생 연령에서 적자 연령대로 유입되는 구조다.
2022년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98조1000억 원이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77조4000억 원, 118조 원 순이전됐다.
한편 통계청은 이날 2020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개편 결과를 적용해 국민이전계정의 추계 방법과 기초자료도 개선했다고 밝혔다.
교육 소비 대상 연령을 학령기(0~33세)에서 전 연령대로 확대했고, 통계표 연령을 세분화해 통계 활용성을 높였다. 연합뉴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