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이버작전센터-세종대
국방사이버안보포럼 공동 주관
|
육군이 점차 고도화되는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민·관·군·산·학·연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육군은 지난 17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센터에서 ‘신기술 분야에 대한 국방 사이버보안 발전방향’을 주제로 ‘2023 국방사이버안보포럼’을 개최했다. 육군 사이버작전센터와 세종대 국방사이버안보연구소가 공동 주관한 이날 행사에는 곽열목(준장) 사이버작전센터장, 홍우영 세종대 부총장, 변재선 국방사이버안보연구소장, 박현규 국방전산정보원장 등 국방·사이버 분야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국방 사이버 전망과 실상’ ‘신기술 국방 적용 제안’ 등 2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세션에서는 송재은 전 사이버작전사령부 단장, 윤재필(중령·진) 사이버작전센터 사이버작전계획장교, 국경환 국방통합데이터센터 서기관이 ‘사이버 전장환경의 변화와 대응전략’ ‘클라우드 확산정책과 보안전략’ 등을 발표했다.
육군 측 발제자로 나선 윤 중령(진)은 ‘미래 국방 사이버 위협 대응체계 구축 전략’을 주제로 발표해 주목받았다. 그는 인공지능(AI)·클라우드·빅데이터·모바일·사물인터넷(IoT) 등 변화하는 기술과 환경에 발맞춘 육군의 새로운 사이버위협 대응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둘째 세션은 박춘석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 사무총장, 한은혜 ㈜SSNC 대표, 공동현 ㈜시큐어레터 연구소장이 △사이버보안관리·평가제도(RMF) △비실행형 악성코드 대응 △제로 트러스트 기반 패스워드 등 다양한 신기술과 군 적용방안을 발표했다.
육군은 포럼에서 논의된 사안을 사이버 방어작전 체계와 정책에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또 육군 사이버안보 능력 발전을 위해 민·관·군·산·학·연 협조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조수연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