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나전공예의 진수
국내외 4점 정도만 남아
|
16세기에 제작된 조선시대 나전(螺鈿)함이 고국의 품에 돌아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1일 교육관 1강의실에서 젊은 경영인들의 문화 후원 친목 모임인 ‘국립중앙박물관회 젊은친구들(YFM)’이 미국의 한 경매에서 구입한 뒤 박물관에 기증한 나전함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나전함은 아름다운 전복이나 조개껍데기의 문양을 만들어 붙이는 기법이 적용된 조선 16세기 나전칠기 공예의 특징을 보여주는 수작이다. 세로 31.0㎝ 가로 46.0㎝ 크기의 상자로 귀중품이나 문방구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 나전함은 칠을 하기 전 함을 직물로 싸, 습기로 나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했다. 박물관 측은 이는 주로 고급 칠기를 제작하는 데에 사용된 기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상자는 여러 모양의 나전 연꽃들이 꽉 차게 배열돼 있으며, 각 꽃 장식을 동그랗게 감싸듯 배치된 넝쿨 줄기, 잎사귀, 띄엄띄엄 들어간 칠보문이 화려함을 더한다. 나전함 뚜껑의 네 변과 각 모서리는 촘촘한 나전 장식으로 마무리했다. 장식을 위해서는 나전 조각을 이어붙이는 타찰 기법이 사용됐으며 밝은 갈색 빛의 바탕 칠색이 조선시대 나전칠기의 자연스러운 멋을 느끼게 한다.
무엇보다도 이번 나전함과 유사한 유물은 기존에 박물관이 소장한 한 점과 동경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일본중요문화재 나전함 한 점 등 네 점 정도만 남아있어 문화재적 가치도 크다.
박물관 관계자는 “16세기 제작된 나전함 자체가 많지 않아 귀한 사례”라며 “고려시대에 제작된 세밀한 나전 공예와 조선 후기의 화려한 나전과는 또 다른 미감(美感)을 보여줘 그 자체로도 가치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노성수 기자/사진=국립중앙박물관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