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A 방식…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
정확한 위치 정보 제공 정밀 착륙 유도
방위사업청(방사청)은 지난달 29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정밀접근레이다(PAR·Precision Approach Radar) 최초 양산 물량을 공군에 전력화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항공관제레이다의 일종인 정밀접근레이다는 공항 관제 구역 내에서 운항하는 항공기의 착륙 관제를 담당하는 장비다.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가 야간과 악기상에도 안전하게 운항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해 정밀 착륙을 유도한다.
방사청은 2012년 LIG넥스원과 약 200억 원을 공동 투자해 정밀접근레이다 개발에 착수했다. 2017년 핵심 구성품 모두를 국산화함으로써 개발에 성공했다. 이전까지는 해외 수입 제품을 30년 이상 운용하고 있었다.
국산 정밀접근레이다는 기존 수동위상배열(PESA) 방식을 수백 개의 반도체 송신기를 이용한 능동위상배열(AESA) 방식으로 개선해 운용성과 효율성이 대폭 향상됐다. 전원장치를 이중화해 생존성을 강화한 것도 장점이다. 전체 부품 단위로 고장을 진단하고, 원격으로 감시하는 기능을 탑재해 정비 분야 자동화·효율성도 높아졌다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레이다뿐만 아니라 관련 첨단기술의 국내 개발을 지속해 국방력 강화와 방위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철환 기자
< droid001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