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사진·지도상 고화질 데이터 표시
대피 경로 확보·제독작전 지원 활용
화학·생물학 무기, 방사능 상황 발생 시 오염 확산 경로를 예측하고 피해 대응책을 신속히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 개발됐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6일 “화생방 실시간 오염 예측 및 대응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화생방으로 인한 재난 발생 시 복잡한 구조의 도심지에서도 오염 상황을 고해상도·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성사진이나 지도상에 고화질 데이터 표시도 가능해 대피 경로 확보와 제독작전 등 국가 차원의 대응도 지원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방위사업청 핵심기술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ADD는 “화생방전 발생 시 민·관·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재난 대응 능력을 확보하고자 화생방 실시간 오염 예측 및 대응 기술을 개발했다”면서 “이번 연구 성과가 화생방 전장관리경보 무기체계 개발에 적용돼 여러 테러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군 전력을 증강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연구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철환 기자
김철환 기자
< lgiant61@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