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호 공참총장, 美 우주사령부 방문
25개국 참가 ‘우주지휘관회의’ 참석
한미 정책협의체 약정서 개정 서명도
박인호 공군참모총장과 존 레이먼드 미 우주군참모총장이 지난 27일(현지시간) 미 우주사령부에서 한국 공군과 미 우주군 간 우주정책협의체에 관한 약정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군 제공
한국 공군과 미 우주군이 우주 관련 군사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공군은 29일 “존 레이먼드 미국 우주군참모총장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한 박인호 참모총장이 지난 27일(현지시간) 우주안보협력 강화를 위한 군사외교활동을 펼치고 있다”며 “두 총장은 지난 27일에 미 우주사령부가 있는 콜로라도 피터슨 기지에서 ‘한 공군-미 우주군 우주정책협의체에 관한 약정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군은 2017년 미 공군과 최초 체결한 이 약정서를 미 우주군 창설에 따라 개정했으며, 우리 공군과 미 우주군이 우주안보 협력 파트너가 됐음을 공식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서명권자를 참모총장으로 격상해 우주 정책·정보 공유, 인적교류, 기술협력 등 우주 관련 군사협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부연했다.
박 총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군사외교 첫 공식 일정으로 미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개최된 ‘우주지휘관회의’에 참석해 미국·영국·일본·캐나다 등 25개국 지휘관과 우주작전, 우주 조직·인력·교육 전문화, 민·군 우주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군사교류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박 총장은 다음날엔 피터슨 기지에 있는 우주사령부를 찾아 우주안보 위협에 대한 브리핑을 받은 뒤 제임스 디킨슨 미 우주사령관과 레이먼드 참모총장을 연달아 만났다. 박 총장과 디킨슨 사령관은 우주영역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한미 우주영역인식(SDA) 능력 확장을 위한 우주감시정보 공유, 한국 공군의 우주 관련 연합연습 참가, 우주기술지원, 미사일 방어와 우주능력 통합 등 연합우주작전 수행 능력 향상에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디킨슨 사령관은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은 태평양 내 가장 강한 동맹 중 하나이자 책임감 있는 우주 진출 국가”라며 “복잡한 우주환경에서 우주가 평화롭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강조했다고 공군은 전했다.
박 총장은 이어 레이먼드 참모총장과 ‘한 공군-미 우주군 우주정책협의체에 관한 약정서 개정 및 서명식’을 했다. 이어 슈리버 공군기지를 방문해 한국형 위성항법체계(KPS) 개발·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미 우주사령부 일정을 마친 박 총장은 하와이로 이동해 30일부터 미 태평양공군사령부에서 열리는 ‘태평양 공군지휘관 심포지엄’에 참석한다. 박 총장은 19개국 공군지휘관과 공군력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다음 달 3일 귀국할 예정이다. 이원준 기자
박인호 공참총장, 美 우주사령부 방문
25개국 참가 ‘우주지휘관회의’ 참석
한미 정책협의체 약정서 개정 서명도
박인호 공군참모총장과 존 레이먼드 미 우주군참모총장이 지난 27일(현지시간) 미 우주사령부에서 한국 공군과 미 우주군 간 우주정책협의체에 관한 약정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군 제공
한국 공군과 미 우주군이 우주 관련 군사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공군은 29일 “존 레이먼드 미국 우주군참모총장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한 박인호 참모총장이 지난 27일(현지시간) 우주안보협력 강화를 위한 군사외교활동을 펼치고 있다”며 “두 총장은 지난 27일에 미 우주사령부가 있는 콜로라도 피터슨 기지에서 ‘한 공군-미 우주군 우주정책협의체에 관한 약정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군은 2017년 미 공군과 최초 체결한 이 약정서를 미 우주군 창설에 따라 개정했으며, 우리 공군과 미 우주군이 우주안보 협력 파트너가 됐음을 공식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서명권자를 참모총장으로 격상해 우주 정책·정보 공유, 인적교류, 기술협력 등 우주 관련 군사협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부연했다.
박 총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군사외교 첫 공식 일정으로 미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개최된 ‘우주지휘관회의’에 참석해 미국·영국·일본·캐나다 등 25개국 지휘관과 우주작전, 우주 조직·인력·교육 전문화, 민·군 우주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군사교류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박 총장은 다음날엔 피터슨 기지에 있는 우주사령부를 찾아 우주안보 위협에 대한 브리핑을 받은 뒤 제임스 디킨슨 미 우주사령관과 레이먼드 참모총장을 연달아 만났다. 박 총장과 디킨슨 사령관은 우주영역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한미 우주영역인식(SDA) 능력 확장을 위한 우주감시정보 공유, 한국 공군의 우주 관련 연합연습 참가, 우주기술지원, 미사일 방어와 우주능력 통합 등 연합우주작전 수행 능력 향상에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디킨슨 사령관은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은 태평양 내 가장 강한 동맹 중 하나이자 책임감 있는 우주 진출 국가”라며 “복잡한 우주환경에서 우주가 평화롭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강조했다고 공군은 전했다.
박 총장은 이어 레이먼드 참모총장과 ‘한 공군-미 우주군 우주정책협의체에 관한 약정서 개정 및 서명식’을 했다. 이어 슈리버 공군기지를 방문해 한국형 위성항법체계(KPS) 개발·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미 우주사령부 일정을 마친 박 총장은 하와이로 이동해 30일부터 미 태평양공군사령부에서 열리는 ‘태평양 공군지휘관 심포지엄’에 참석한다. 박 총장은 19개국 공군지휘관과 공군력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다음 달 3일 귀국할 예정이다. 이원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