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서해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피살된 것과 관련, 같은 사태가 또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서해상 감시·경계태세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은 27일 연평도에서 해병대 장병들이 해안 경계근무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청와대는 26일 “서해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피살된 사건과 관련, 북한에 추가 조사를 요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필요하다면 공동 조사도 요청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전날 저녁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회의를 통해 북한이 25일 보낸 통지문에서 밝힌 사건 경과와 우리 측 첩보 판단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계속 조사해 사실관계를 규명하기로 했다”며 “북한에 추가 조사를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공동조사도 요청하기로 했다”고 알렸다. 또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서해상 감시 및 경계 태세를 더욱 강화하는 조치를 시급히 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지난 25일 통일전선부 명의로 통지문을 보내며 이번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총격 살해된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에 공식 사과 표시를 했다”고 밝혔다.
서 실장이 공개한 통지문에 의하면 북한은 “김 위원장은 가뜩이나 악성 비루스(코로나19) 병마 위협으로 신고하고 있는 남녘 동포들에게 도움은커녕 우리 측 수역에서 뜻밖의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준 것에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 지도부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발생했다고 평가했다”며 “이 같은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상경계감시 근무를 강화하며, 단속 과정의 사소한 실수나 큰 오해를 부를 수 있는 일이 없도록 해상에서 단속 취급 전 과정을 수록하는 체계를 세우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 측은 북남 사이에 분명 재미없는 작용할 일이 우리 측 수역에서 발생한 데 대해 귀측에 미안한 마음을 전한다”며 “우리 지도부는 이런 유감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최근에 적게나마 쌓아온 북남 사이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허물어지지 않게 더 긴장하고 각성하며 필요한 안전대책을 강구하는 것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고 부연했다.
서 실장은 이와 함께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최근 친서를 주고받았다고 전했다. 이후 공개된 친서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어려움과 현재 처한 난관에 대한 극복과 남북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 내용이 담겼다.
한편 해양경찰청은 사망한 공무원의 시신과 소지품을 찾기 위한 수색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경은 27일 “사망한 공무원이 마지막으로 포착된 연평도 인근 해상을 8개 구역으로 나눠 집중 수색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색에는 해군·해경 함정 29척과 어업지도선 10척 등 총 39척과 항공기 6대가 투입됐다고 해경은 전했다.
해경은 시신이나 소지품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쪽 지역으로 떠내려올 가능성에 대비해 수색하고 있다.
이주형·맹수열 기자
맹수열 기자
< guns13@dema.mil.kr >
이주형 기자
< jataka@dema.mil.kr >
청와대는 서해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피살된 것과 관련, 같은 사태가 또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서해상 감시·경계태세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사진은 27일 연평도에서 해병대 장병들이 해안 경계근무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청와대는 26일 “서해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피살된 사건과 관련, 북한에 추가 조사를 요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필요하다면 공동 조사도 요청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전날 저녁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회의를 통해 북한이 25일 보낸 통지문에서 밝힌 사건 경과와 우리 측 첩보 판단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계속 조사해 사실관계를 규명하기로 했다”며 “북한에 추가 조사를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공동조사도 요청하기로 했다”고 알렸다. 또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서해상 감시 및 경계 태세를 더욱 강화하는 조치를 시급히 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지난 25일 통일전선부 명의로 통지문을 보내며 이번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총격 살해된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에 공식 사과 표시를 했다”고 밝혔다.
서 실장이 공개한 통지문에 의하면 북한은 “김 위원장은 가뜩이나 악성 비루스(코로나19) 병마 위협으로 신고하고 있는 남녘 동포들에게 도움은커녕 우리 측 수역에서 뜻밖의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준 것에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 지도부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발생했다고 평가했다”며 “이 같은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상경계감시 근무를 강화하며, 단속 과정의 사소한 실수나 큰 오해를 부를 수 있는 일이 없도록 해상에서 단속 취급 전 과정을 수록하는 체계를 세우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 측은 북남 사이에 분명 재미없는 작용할 일이 우리 측 수역에서 발생한 데 대해 귀측에 미안한 마음을 전한다”며 “우리 지도부는 이런 유감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최근에 적게나마 쌓아온 북남 사이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허물어지지 않게 더 긴장하고 각성하며 필요한 안전대책을 강구하는 것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고 부연했다.
서 실장은 이와 함께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최근 친서를 주고받았다고 전했다. 이후 공개된 친서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어려움과 현재 처한 난관에 대한 극복과 남북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 내용이 담겼다.
한편 해양경찰청은 사망한 공무원의 시신과 소지품을 찾기 위한 수색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경은 27일 “사망한 공무원이 마지막으로 포착된 연평도 인근 해상을 8개 구역으로 나눠 집중 수색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색에는 해군·해경 함정 29척과 어업지도선 10척 등 총 39척과 항공기 6대가 투입됐다고 해경은 전했다.
해경은 시신이나 소지품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쪽 지역으로 떠내려올 가능성에 대비해 수색하고 있다.
이주형·맹수열 기자
맹수열
기자 <
guns13@dema.mil.kr >
이주형 기자 <
jataka@dema.mil.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