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군인가족 교육상담 Q&A

예측 어려운 시대…‘인본주의 교육’ 해 주세요

입력 2020. 06. 29   15:58
업데이트 2020. 06. 29   16:35
0 댓글

<96·끝> 언택트 시대 자녀 교육


생존·안전·소속과 사랑·인정 욕구
충족되는 안전한 환경 만들어 주고
무조건적인 긍정과 관심 보여줘야 

 
Q : 초등학생 자녀를 둔 군인가족입니다. 언택트 시대에 자녀교육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A : 아이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인본주의 교육을 해 주세요. 언택트 시대와 같이 예측하기 어려운 사회에서는 중심을 잡고 자기를 실현하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인본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은 모두 자아실현 욕구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봅니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시자 매슬로는 전인적 인간의 욕구를 나타내는 다섯 위계를 개발하였습니다.

욕구 위계의 최저 수준에는 생존에 필요한 본능적 신체 기능과 관련된 ‘생존 욕구’가 있습니다. 음식, 물, 수면, 체온유지, 배설, 성 등의 생리적 욕구로 가장 먼저 충족되어야 합니다.

다음은 신체적·감정적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고자 하는 ‘안전 욕구’입니다. 부모의 부부관계가 좋을 때 아이의 심리적 안정감이 높아진다는 점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세 번째는 ‘소속과 사랑 욕구’입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므로 그룹에 속하고 다른 사람과의 사랑과 수용을 통해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지고자 합니다.

네 번째는 인정과 지지를 받고자 하는 ‘존경 욕구’입니다. 인간은 자신이 가치 있다는 인식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명예욕, 권력욕 등 외부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 이외에도 내적으로 스스로를 인정하는 자아존중감도 존경욕구에 포함됩니다. 생존, 안전, 소속과 사랑, 존경 욕구는 충족되지 않았을 때에는 채우도록 노력하고 충족 되면 일정 기간 없어지는 결핍욕구입니다.

마지막 단계인 ‘자아실현 욕구’는 끊임없이 추구하게 되는 성장욕구입니다. 지적 성취나 심미적 인식도 이 욕구에 해당합니다. 자아실현을 한 사람은 현실을 분명히 인식하고, 스스로의 원칙에 의해 생각하고 행동하며, 자율적이고, 자기중심이 아닌 문제 중심이며, 자기를 수용하고 타인에 대한 연민과 자비를 가집니다. 자아실현을 이룬 사람은 행복, 통찰력, 몰입상태를 느끼는 절정경험(peak experience)을 자주 느낍니다.

아이의 자아실현 경향성을 개발하기 위해서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의 생존, 안전, 소속과 사랑, 인정 욕구를 살펴 이것이 충족되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아이를 전인적으로 성장해 가는 존재로 바라봐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해도 행동에 대해서만 지적해 주세요. 아이에게 다정하고 존중하는 말투로 격려하고 아이와 인간적인 시간을 많이 보내고 아이의 이야기를 경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런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은 아이가 스스로 가치 있는 존재로 느끼도록 해 줍니다.

부모는 아이가 자라면서 자신의 마음에 드는 행동을 하거나 성적을 잘 받았을 때와 같이 특정 조건에서만 아이에게 긍정적 관심을 보이기 쉽습니다. 이런 조건적 관심은 아이의 인격 성장을 저해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언택트 시대에는 인간의 잠재력을 키우는 인본주의 교육이 중요합니다. 뿌리를 튼튼하게 내린 나무가 태풍을 버틸 수 있듯이, 인본주의 교육을 받은 아이는 새로운 시대의 혼란 속에서도 자기를 계발하고 잠재력을 실현해 나갈 것입니다.

<그동안 군인가족 교육상담 코너를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승이 성대교수>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