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군인가족 교육상담 Q&A

교과과정 지침·단원 목표부터 살피게 하자

입력 2020. 06. 22   16:48
업데이트 2020. 06. 22   16:51
0 댓글

<95> 시험 준비시키기


교과 내용 이해만으론 불충분
예상 시험문제 푸는 연습 과정 필요
문제 꼼꼼히 읽는 연습도 시켜야



Q. 중학생 자녀를 둔 군인가족입니다. 조금 있으면 기말고사인데 아이에게 시험 준비를 잘 시켜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A. 아이가 시험의 내용과 형태를 이해하도록 해 주시고 시험 전략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시험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갖고, 시험에서 최소한의 불안을 느끼도록 준비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아이가 시험 내용과 유형을 이해하도록 해 줄 때는 그 교과과정 지침과 단원목표를 먼저 살핀다면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시험내용과 형태를 아이와 함께 명료하게 하는 과정은 아이에게 구조를 확립시키고 시험불안을 감소시킵니다.

시험 준비를 할 때 교과 내용의 이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실제 시험문제와 유사한 문제들을 푸는 연습 과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시험 경험이 적은 어린 학생들에게 이 과정은 중요합니다. 시험과 같은 형태의 문제를 기초부터 더 복잡하고 응용된 문제 순으로 연습하도록 해 주세요. 그 다음에 문항들이 섞여 있도록 해서 실제 시험과 유사한 상황을 만들어 시험을 치르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 전략 중 하나가 문제를 주의해서 읽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문제를 제대로 읽지 않아 정답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에 중요한 정보가 있고 때로는 힌트도 존재하므로 문제를 꼼꼼히 읽는 연습을 시켜주세요. 효율적으로 시험 시간을 사용하고 자기에게 적정한 속도로 문제를 푸는 연습 역시 중요합니다.

문제가 어렵게 느껴지거나 갑자기 생각이 잘 나지 않으면 표시를 해놓고 다음 문제로 넘어갔다가 건너뛰었던 문제로 다시 돌아와 풀도록 합니다. 아이가 틀린 문제를 중심으로 유사한 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도록 해 주세요. 문제를 푼 후에 “이 문제에서는 무엇이 중요하지?” “이 문제를 풀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은?” 등의 질문과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 준다면 아이는 틀린 이유를 더 잘 파악하게 될 것입니다.

시험에 대한 분명하고 긍정적인 기대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열심히 공부했고 실력이 나아지고 있으니 잘할 수 있을 거야”라는 말을 자주 해주세요. 연구에 의하면 같은 점수를 받은 두 집단 중에서 시험을 잘 보았다는 말을 들은 집단이 잘 보지 못했다고 들은 집단보다 성적이 더 높았습니다. “잘하고 있다” “계속 그렇게 하렴”이라는 말로 아이의 노력을 인정해 주면 아이의 자신감이 높아질 것입니다.

제대로 된 시험 준비는 옳은 답을 찾거나 문제를 완전하게 푸는 기술이 아닙니다. 오히려 내용의 이해를 바탕으로 시험에서 나오는 유형을 연습하여 시험 상황에 미리 적응하고 취약한 부분을 반복 연습으로 보완해 가는 과정입니다. 시험 전 아이와 시험의 내용과 절차에 대해 즐겁게 토론해 보세요. 시험 연습을 함께하면서 아이에게 노력에 기반한 칭찬을 자주 해주면 아이는 시험에서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입니다.

<도승이 성균관대 교수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회장>
상담 질문 이메일 professordoqna@gmail.com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