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애착 유형
아이의 애착 욕구 관찰해서 일관되게 반응해야 안정감 느껴
어릴 때 부모와 형성한 애착 성인이 되어서도 정서적·사회적 발달에 영향
Q. 4세 아이를 둔 군인가족입니다. 아이가 형성하는 애착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애착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A. 애착 유형은 안정애착, 저항애착, 회피애착, 혼란애착 네 가지가 있습니다. 애착 이론을 확장한 학자인 메리 에인스워스는 엄마가 잠시 자리를 피해 아이의 시선에서 없어졌다가 다시 나타났을 때 아이의 반응을 보는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아이의 애착 반응을 유형별로 분류했습니다.
‘안정애착’ 유형은 내가 지지받고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고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믿을 만하다고 느낍니다. 안정애착형 아이는 엄마와 함께 있을 때 안정감을 느끼고 엄마와 재결합 시 엄마를 반가워하고 엄마가 안아주거나 하면 쉽게 진정됩니다. 안정애착형 아이는 행동·생각이 상황으로 인해 불안정해지더라도 일시적이며 원래의 안정된 모습으로 쉽게 회복합니다.
그런데 부모나 주 양육자가 아이의 애착 욕구에 비일관적으로 반응하고, 아이에게 강제적이거나 무관심하거나, 독립성 욕구를 지지해주지 않으면, 아이는 내가 필요할 때 부모가 옆에 있어 줄지 확신할 수 없게 되고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합니다. ‘저항애착’ 유형의 아이는 엄마와 함께 있을 때도 엄마와 잘 떨어져 있지 못하고 엄마가 다시 돌아왔을 때 안아주어도 분노와 저항을 표현하고 한참 후에야 진정이 됩니다. 저항애착형 아이는 부모의 비일관적 태도로 인해 부모의 사랑을 원하면서도 거부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입니다.
‘회피애착’ 유형은 부모와 같이 있어도, 떨어져 있어도 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엄마가 돌아와도 잘 안기지 않고 회피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평소 부모가 아이에게 반응을 잘 보이지 않거나 강압적이어서 자기감정을 잘 위로받지 못했기 때문에 아이는 감정을 억제하고 혼자 해결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입니다.
‘혼란애착’ 유형은 엄마를 안전기지로 삼지 못하고 저항과 회피 애착 유형 행동을 모두 보입니다. 엄마가 안아주려 해도 몸을 피하거나 늘어져 버리기도 합니다. 부모의 스트레스가 매우 심해 아이의 애착 욕구에 잘 반응하지 못할 때 혼란애착이 생기기 쉽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안정애착 유형이 65% 정도이고 다른 불안정 애착 유형들을 합쳐 35%입니다. 따라서 아이와 상호작용할 때 불안정한 애착이 형성될까 너무 걱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오히려 아이의 요구에 민감하고 따뜻하게 반응하기 위해 보호자로서 여유로운 태도와 일관된 태도를 견지할 때 아이는 안정감을 느낄 것입니다.
특히 아이의 반응을 부모 기준으로 판단하지 마시고 아이의 애착 욕구를 잘 관찰해서 되도록 일관되게 반응을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어릴 때 부모와 형성한 애착은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도 정서적·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도승이 성균관대 교수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회장>
상담 질문 이메일 professordoqna@gmail.com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