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를 빛낼 불사조 용사들<2> 레슬링 김관욱 병장
천신만고 끝에 따낸 첫 올림픽 티켓
‘6분의 승부’ 위해 온종일 지옥 훈련
절대 강자·약자 없는 춘추전국시대
강력한 체력과 빠른 태클로 승부수
“전쟁터에 나선 전사의 각오로 반드시 정상에 태극기 올린다”
![]()
레슬링은 지난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한 것을 시작으로 2012 런던올림픽까지 금메달 11개를 따내며 우리 국민에게 기쁨을 선사한 효자 종목이다. 그런데 상체만 사용하는 그레코로만형과 달리 전신 공격이 허용되는 자유형에서는 지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박장순이 금메달을 딴 이후 금맥을 잇지 못하고 있다. 24년이 흐른 지금, 레슬링 자유형 86㎏급에 출전하는 국군체육부대 김관욱 병장이 ‘자유형 금빛 재현’에 도전장을 냈다. 첫 올림픽 출전을 앞둔 김 병장을 태릉 선수촌에서 만났다.
생사를 넘나드는 초인적인 훈련… ‘강한 전사’로 거듭나
“죽을 것 같은 고통입니다.”
매트 위에 뚝뚝 떨어지는 땀을 연신 닦아내며 김 병장은 태릉의 훈련을 ‘생사를 넘나드는 훈련’이라고 표현했다. 매트 위에서 상대와 쉼 없이 사투를 벌여야 하는 레슬링 경기에서 초인적인 체력훈련은 ‘금빛 영광’으로 가는 필수 과정이다. 새벽부터 오전·오후·야간까지 그야말로 지옥훈련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김 병장은 “이 고통을 넘어서야 다음 문이 열린다”고 비장하게 말한다.
레슬링은 3분씩 2회전으로 진행되는 단 ‘6분의 승부’다. 아시아 선수들에 비해 신체조건이 뛰어난 서구 선수들 틈에서 자유형으로 세계 정상에 우뚝 서는 일은 쉽지 않은 도전이다. 이번 올림픽에 한국 레슬링은 자유형 종목에 김 병장을 포함한 단 2명만이 출전권을 따냈다.
김 병장의 승부수는 ‘늪 레슬링’이다. 한번 빠지면 나올 수 없는 ‘늪’처럼 강력한 체력을 바탕으로 한 빠른 태클로 상대를 지치게 한다는 전략이다. 김 병장은 “레슬링은 눈 한번 깜박하는 순간 상대 기술에 당할 수 있다. 그렇기에 조금만 방심하면 그동안의 노력이 모두 수포로 돌아간다”면서 “실력이 세계적으로 상향 평준화됐기 때문에 절대 강자도 약자도 없다. 오직 금메달을 향해 훈련에만 매진해왔다”고 출사표를 던졌다.![]()
천신만고 끝에 얻은 올림픽 티켓 “자유형 돌풍 이끈다”
사실상 첫 올림픽 출전의 꿈을 이루기까지 김 병장은 수많은 관문을 거쳐야 했다.
지난해 세계선수권에서 입상이 좌절되면서 올림픽 티켓이 걸린 카자흐스탄 아시아쿼터대회에 출전했지만 이 대회에서도 아쉽게 티켓을 놓쳤다. 절치부심한 김 병장은 이후 지난 4월과 5월 몽골과 터키에서 열린 대회에서 올림픽 쿼터 추가 획득에 성공했다. 하지만 올림픽 쿼터를 획득했다고 자동으로 리우행 티켓을 거머쥐는 것은 아니었다. 김 병장은 국내 경쟁자들과 맞붙은 1·2차 선발전에서 모두 우승을 거둔 후에야 당당히 국가대표로 확정됐다. 그동안 2014 인천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을 따내는 등 국제대회 경력은 있지만, 어려움을 극복한 끝에 나서는 첫 올림픽이기에 김 병장에겐 느낌이 남다르다.
김 병장은 올림픽 티켓을 따기 위해 치른 시합들에 대해 “벼랑 끝에 몰린 상황이었다”고 표현하며 “박장순 감독님 이후 금맥이 끊긴 레슬링 자유형에서 24년 만에 큰일을 내 보겠다”고 당찬 각오를 밝혔다.
전우들 응원이 큰 힘… “손연재와 하필 같은 날 경기라니…”
김 병장은 자신의 또 다른 무기가 바로 군인정신과 전우애라고 강조했다. “남자라면 반드시 군대에 가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 김 병장은 “올림픽을 향한 힘든 훈련을 군인정신으로 극복해왔다. 올림픽 출전을 응원해주는 전우들 덕분에 힘이 난다”며 훈련소부터 함께한 전우들에 대해 각별한 전우애를 드러냈다.
대회 후반인 다음달 20일 경기를 치르는 김 병장은 오는 30일 미국 콜로라도주로 출국해 현지 적응 훈련을 거친 후 다음 달 8일 결전지인 브라질 리우로 향한다.
김 병장은 “시합날이 하필 손연재 선수와 겹친다. 금메달을 따도 묻힐 게 뻔하다”면서 여유를 보였지만, 올림픽 무대를 향한 각오는 거침없이 드러냈다.
“벼랑 끝에서 밀려나면 죽는다는 각오로, 전사가 전쟁에 임하는 자세로 싸울 것이다. 전 세계 최고의 사나이들과 대결해 반드시 태극기를 정상에 올리겠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