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해외취업 성공수기

2년간의 해외 봉사“내 요리에 꿈 익혔죠”

입력 2015. 12. 14   16:42
0 댓글

(30) 김광민 튀니지 KOICA 요리봉사단원


해병대 조리병·일본 현지식당 등 거쳐

튀니지 국립관광교육센터서 학생 지도

“겁먹지 말고 부딪쳐보는 정신이 필요”

 

 

내 어릴 적 꿈은 하얀 앞치마를 허리에 두르고, 하얀 모자를 쓰고 전쟁터 같은 주방을 지휘하는 요리사가 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지금 나의 꿈은 대한민국 외식업에서 요리사들을 이끄는 ‘한국관광공사 CEO’가 되어 대한민국 요리사들이 자부심을 품고 자신의 요리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주고 싶은 것이다. 주방을 지휘하는 요리사를 꿈꾸던 소년이 한국의 외식업에서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 것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준 아프리카 튀니지에서의 경험 덕분이다.

 

 


 

 

 

 ● 소년 요리사를 꿈꾸다.

 초등학교 시절 MBC에서 방영했던 ‘성공시대’라는 프로그램에서 하얀 앞치마를 두르고, 하얀 모자를 쓰고 주방을 지휘하는 요리사를 보며 나도 어른이 되면 저런 요리사가 돼야겠다는 꿈을 꿨다. 나는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에 진학했고 멀게만 느껴졌던, 그리고 상상만 해 왔던 꿈이 현실로 한 걸음 다가갔다. 그곳에서 나는 ‘요리는 과학이며 예술이다’라는 요리 철학을 배우게 됐고, 주방에서 수도 없이 혼나며 칼과 불에 대한 기본기를 익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요리사로서의 인성과 자부심이었다.

 그 당시는 요리를 잘한다는 것이 대회에 참가해 입상을 많이 하고, 접시 위에 조금 더 멋진 장식을 올려놓는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요리를 하면 할수록 진정 요리를 잘하는 사람은 좋은 식재료를 찾는 눈을 가지고 최소한의 조리방법으로 재료 본연의 맛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 생각하지 못한 창의적인 조리방법으로 맛을 낼 줄 아는 사람이라는 나만의 가치관을 갖게 됐다.

 같은 전공으로 입학하게 된 대학에서는 책을 통해 학습하는 간접경험보다는 몸으로 직접 부딪치며 학습하려고 노력했다. 고등학교 시절 요리사가 되겠다는 같은 목표로 만났던 친구들 외에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대학의 학보사에 들어가 기사를 쓰며 소통하는 방법을 배웠고, 자원해 다녀온 해병대에서는 최고 수장인 사령관의 조리병으로 일하며 수장의 자기 관리를 지켜봤다. 선배를 통해 방학 동안 다녀온 일본에서는 여행자가 아닌 노동자로 주방에서 일하며 말이 통하지 않는 외국인에 대한 두려움을 없앨 수 있었다.

 KOICA에 지원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필리핀으로 한 달간 대학생 단기 봉사단 활동을 다녀온 것이다. 그곳에서 나는 음식이라는 문화를 가지고 세계의 모든 사람이 서로 소통하게끔 하는 체험을 했다.



 ● 나를 위한 더 큰 배움, 가르침

 요리라는 나만의 분야에서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해 도전했던 2년3개월 동안의 튀니지 KOICA 봉사 활동은 많은 창의력과 상상력이 있어야 하는 나에게는 무척이나 좋은 기회였다.

 세계적으로 아시아 음식이 몸에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튀니지에서도 점차 아시아 음식 조리사 양성 교육이 필요하게 됐지만, 문제는 교수들조차 아시아 음식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이런 현지 사정 때문에 튀니지의 관광산업을 활성화하고 대한민국의 문화 전파를 위해 내가 파견될 수 있었다. 내가 근무를 했던 곳은 튀니지 관광청 산하 국가기관인 국립관광교육센터였다.

 내가 강의하는 수업에는 나보다 나이가 많은 학생도 있었다. 수업이 시작되고 한번도 접해 본 적 없는 간장과 참기름을 먹어 보게 하고 겨자를 맛보게 하니 다들 그 맛에 깜짝 놀랐다. 이슬람 사람들은 간장이 들어간 음식을 접해 보지 않아 처음에는 거부감을 보였다. 또한, 음식에 설탕을 넣지 않는 튀니지에서 불고기나 잡채 같은 음식에 설탕을 넣으면 신기해하며 수업에 임했다. 나는 강의 때마다 “너희는 음식을 하는 사람이고, 외국에 나가서 일하는 것이 꿈이면, 거부감을 가지지 말고 호기심을 가지고 먹어 봐라”하고 얘기했다.

 필리핀 단기 봉사활동의 좋았던 기억만 가지고 출발했던 튀니지에서의 장기 봉사활동은 생활부문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동양에서 온 어린 이방인을 따뜻하게 대해주는 기관 선생님들 덕분에 포기하지 않고 2년3개월이란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겁먹지 말고 우선 부딪쳐 보자, 부딪쳐 보고 아니다 싶으면 돌아와도 늦지 않아. 광민아!” 처음 이곳에 혼자 남겨졌을 때 항상 외쳤던 말이다.



 ● 젊음은 결코 늦지 않다

 지난 5월 28일 튀니지에서 가까운 맛의 나라 프랑스와 스페인을 여행하고 귀국한 나는 현재 청담동에 있는 레스토랑에서 일하고 있다. 고민을 정리하기 위해 일을 시작했고, 지금은 마음의 결정을 지었다. 앞으로는 주방에서 팬을 돌리기보다는 책상에서 펜을 굴리는 일이 많을 것이다. 무엇이든지 우선 해보고 나니 미련도 후회도 남지 않는다. 취업과 시험 준비로 많이 힘들어하는 내 또래 청년들에게 말해 주고 싶다. 젊음은 결코 늦지 않다고. 우선 해보고 돌아와도 늦지 않다. 나 또한 앞으로도 이러한 마음가짐으로 살아갈 것이다.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제공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