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장관, 국방정보보호 콘퍼런스에서 강조 “北 정찰총국 산하에 수천여 명 전담부대 운영”

김관진(사진) 국방부장관이 “제5의 전장이라고 일컫는 사이버 공간에 대한 테러 대비는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20일 국군기무사령부가 서울 신길동 공군회관에서 개최한 제11회 국방정보보호 콘퍼런스 격려사를 통해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에 수천여 명으로 구성된 사이버 전담부대를 운영 중”이라며 그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우리는 2009년 디도스 대란과 2011년 농협전산망 해킹, 올 3월 발생한 ‘3·20 사이버 테러’ 등을 통해 그 심각성을 잘 알고 있다”면서 “사이버 테러는 영화나 소설 속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의 안전과 직결된 현실적인 위협이 됐다”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이어 “우리 군도 인터넷과 국방망을 분리·운영하는 등 다중 방호개념의 정보보호체계 구축을 통해 외부의 침투를 원천 봉쇄하고 있다”며 “스마트폰 보안 강화를 위한 MDM, 즉 국방 모바일기기 통제체계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이 이날 말한 모바일기기 통제체계란 군인과 공무원이 개인 스마트폰을 들고 국방부 청사에 들어오면 전화와 문자메시지 외에는 카메라 등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막아 보안을 뒷받침하는 체계를 뜻한다.
이에 앞서 장경욱 기무사령관은 개회사를 통해 “만약 제3차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그것은 사이버전이 될 것이며 어떠한 국가도 예외일 수 없다는 유엔의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강조했다. 장 사령관은 “북한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 해커들을 이용해 사이버 공격을 반복하고 있다”면서 “수차례에 걸쳐 매번 새롭고 지능화된 방법으로 사이버 테러 강도를 높여 가고 있다”고 밝혔다.
장 사령관은 또 “북한은 대남 사이버심리전으로 세대·계층 간 갈등을 획책하고 군사기밀 절취와 국방정보시스템 무능화를 위해 내부자를 표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등 우리 군의 정보체계에까지 침투를 시도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최근 사이버 위협의 심각성을 고려한 듯 김 장관을 비롯해 해·공군참모총장, 청와대 위기관리비서관 등 민·관·군 주요 직위자가 대거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이기주 원장이 기조연설을 통해 “사이버전에 대비한 사이버예비군(화이트 해커) 5000명을 육성해 관리하자”고 제안하는 등 이날 콘퍼런스는 최근 지능화·고도화·특정화된 해킹 공격에 대비한 정보공유 및 소통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김병륜 기자
< lyuen@dema.mil.kr >
사진 < 홍승완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