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버튼 메뉴버튼

국방일보

검색

어떤 기사를 찾으시나요?

검색창 닫기
  • 홈
  • 국방
  • 기획
  • 국내·외
  • 포토라운지
  • 오피니언
  • 엔터·스포츠
  • 라이브러리
  • 무기백과
  • Shorts
국방일보
메뉴 닫기

국군과 국방의 참소식을 알리는 참신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회원가입 로그인
  • 국방
  • 기획
  • 국내·외
  • 포토라운지
  • 오피니언
  • 엔터·스포츠
  • 라이브러리
  • 무기백과
  • Shorts
PDF PC 버전 보기
  • FFG 충남함 마스트, 기존 함정과 어떻게 다를까

    복합센서마스트, FFG 충남함에 첫 적용4면에 레이더와 적외선 탐색추적장비 설치탐지 사각지대 해소 및 생존성 향상 기여4월 10일 진수된 유도탄호위함 충남함의 항진 모습 그래픽. 해군오늘(10일)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된 유도탄호위함 충남함(FFG-828)은 차기호위함(FFX)사업의 15번째 함정이자 사업상 세번째 단계(batch-III)의 첫 번째 함이다.FFG 충남함은 기존에 배치1·2로 건조된 인천급 및 대구급 FFG와는 배수량과 ...
    2023.04.10 17:11
  • 폴란드 K2· K9 배치되는 동북쪽에 누가 있길래

    1918년 11월 11일 독립을 맞은 폴란드(Republic of Poland)는 유럽의 강대국들 사이에서 2세기 넘게 외세의 침략을 받아 분할되거나 점령된 역사가 있다. 오늘날 폴란드의 안보환경 역시 과거보다는 덜하지만 여전히 어려운 국면에 놓여 있다. 폴란드는 한반도의 1.4배에 해당하는 312,683㎢의 면적에 북쪽 발트해에 닿은 해안선(528km)부터 주변 7개국과 이웃해 있다. 동북쪽으로 러시아 역외의 고립된 영토인 칼리닌그라...
    2022.11.18 15:49
  • ‘강자’ K9과 견줄 세계의 자주포는?_(하)

    세계 자주포 시장에서 선두의 자리에 올라선 K9자주포와 비교되는 해외 선진국들의 자주포로서 독일과 미국의 자주포에 이어 러시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영국, 일본에서 운용 또는 개발하는 자주포에 대해 알아본다. ▶ 2S19, 2S35 러시아러시아는 자주포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여 수적인 면에서 미국의 약 10배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구경도 203mm, 180mm, 152mm, 130mm, 122mm, 120mm 등 다양하다.주력 ...
    2022.11.04 09:13
  • ‘강자’ K9과 견줄 세계의 자주포는?_(상)

    국산 K9 155㎜ 자주포가 세계무기시장에서 최정상급의 성능을 자랑하며 동종·동급의 절대 강자로 인정받고 있다. K9은 최초 전력화 이후 보조동력장치(APU)를 추가하고 자동사격통제장치를 향상하는 등 성능을 한층 강화한 K9A1을 2018년부터 야전에 배치하고 있다. 현재는 탄약을 완전 자동으로 장전할 수 있는 K9A2로의 성능개량 연구개발도 가속화하고 있다. 그렇다면 세계 주요 국가는 어떤 자주포를 운용하고 있을...
    2022.10.31 13:56
  • '미래 도전' 차기/차세대전차 어떤 모습들일까

    세계 주요 차기/차세대 전차 들여다 보기미 GDLS, AUSA2022에서 에이브럼스X 공개독 라인메달,KF-51 판터로 차기 도전현대로템, 차세대전차(NBMBT)컨셉 모형 제시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러시아 전차들은 지상전의 왕자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대전차무기와 무인기에 크게 당하면서 전차무용론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세계 주요 방위산업 전시장에서는 현존 주력전차(MBT)의 뒤를 이을 차기/차세대 전차들이 잇...
    2022.10.18 11:07
  • 매듭(knot)이 속도가 된 까닭

    선박의 속도 단위는 노트(knot)로서 1시간에 1해리(海里·nautical mile·nm)를 가는 속도이다.잘 알다시피 원래 노트는 줄을 묶는 방법을 총칭해서 하는 말인데 ‘매듭’을 뜻한다. 그런데 왜, 어떻게 매듭이 속도의 단위가 되었을까. 16세기에 뱃고물(船尾)에 15cm 가량의 부채꼴 나무조각을 긴 줄에 매달아 계속 흘려보내면서 그 끈에 47피트 3인치마다 매듭(knot)을 짓고, 28초 동안에 풀려나간 끈의 매듭을 ...
    2022.08.16 14:16
  • 함정 하부는 왜 빨간색으로 칠할까

    흘수(吃水·draft)는물에 잠기는 부분먼 수평선으로 보면 회색이 관측 힘들어두터운 검은색은 만재배수량 기준선 표시 함정의 규모나 제원을 말할 때 굳이 높이가 얼마라고 제시하는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함정의 높이를 안 재거나 밝히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흘수(吃水·draft)라는 다소 생소한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흘수란 배처럼 어떤 물체가 물 위에 떠 있을 때 물에 잠겨 있는 부분의 깊이를 말한다. 일반적으...
    2022.08.16 14:06
  • 함정 무게 단위는 톤(t), 그 기준과 심상치 않은 유래

    함정의 제원·성능 자료들을 보면 무게와 속도, 거리의 단위가 지상에서 운용되는 무기체계에서와는 낯설 만큼 다르게 쓰이고 있다. 대부분의 무기체계는 길이, 폭, 높이를 미터(m) 단위로 규모를 나타내지만 함정은 그런 시각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크기보다 톤(t)이라는 무게 단위로 표현한다.그런데 같은 톤 단위를 쓰고 있더라도 결코 ‘같은 값’이 아닌 경우가 허다하다. 적용하는 기준이 상선이 다르고 군함이 다...
    2022.08.16 13:51
  • 해군함정 이름·용어 어떻게 쓰이나

    대한민국의 바다를 든든히 지키는 해군. ‘해군’하면 역시 ‘함정’이 떠오른다. 최근 열린 2022 환태평양훈련(RIMPACㆍ림팩)에서도 우리 해군의 정예 함정들이 세계 각국의 찬사를 받았다. 그런데 DDG-991, FF-953 등 해군 함정을 이르는 용어는 낯설고 어렵게 느끼는 분들이 많다. 해군 함정의 이름과 용어에 대해 최대한 정확하고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함정의 분류와 약호해군의 함정은 대체로 크기와 임무, 기...
    2022.07.25 15:53
  • 장갑차, 궤도형과 차륜형은 어떻게 다를까

    최근 육군에서는 트럭과 같은 일반 차량이 아닌 전투차량으로서 바퀴로 구동하는 ‘차륜형’ 전투장비들이 야전부대에 눈에 띄게 배치되고 있다. K806·K808장갑차, K30W 30mm 자주대공포, K877 지휘소용 차량 등이 그것이다.우리 군은 6·25전쟁기를 통해 미 군원으로 M8 그레이하운드 차륜형 장갑차와 M2·M3계열의 반궤도(half-tracked) 장갑차를 운용하고 1970년대 후반부터 4륜 구동의 KM900장갑차를 운용한 바 있지...
    2022.07.14 08:37
  • 구독신청
  • 광고안내
  • 국방홍보원
  • KFN TV
  • KFN Radio
COPYRIGHT (C) 2022 DEM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