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기사를 찾으시나요?
국방
국방 바로가기Shorts
Shorts 바로가기국내·외
국내·외 바로가기응급실 뺑뺑이 최소화…연휴에 비상 진료체계 유지
정부, 전국 응급의료기관 24시간 운영문 여는 병원·약국 응급똑똑앱서 확인 보건복지부(복지부)는 장기간의 추석 연휴 중 응급의료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현 비상 진료체계를 유지하면서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면서 “장기간 추석 연휴의 응급의료 체계를 잘 유지해 국민이 안심하고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달 전공의 상당수가 복귀하면서 병원들의 진료 역량이 상승하고 있으나, 응급의학과 전공의 복귀율은 다소 낮아 비수도권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연휴 기간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비상 진료체계를 그대로 가동한다고 말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추석 연휴 전국 응급의료기관 413곳과 권역외상센터 17곳 등이 24시간 공백 없이 운영된다. 이 외에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의 위치, 운영시간 등의 정보는 응급의료포털(e-gen), 응급똑똑앱, 콜센터 129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 해 왔던 응급의료 전문의 진찰료 및 배후진료 수가 가산을 이번 연휴에도 유지할 계획이다. 권역·거점 응급의료센터의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250% 가산, 중증·응급 수술 가산 200% 등 재정적 지원이 유지된다. 연휴에 문을 여는 병·의원 및 약국에 대한 보상도 강화한다. 산모·신생아 응급상황에 24시간 대응하는 ‘모자 의료 진료 협력 시범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해 비상시 신속한 이송과 전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중앙응급의료상황실 내 산과·신생아 이송 전담팀도 꾸린다. 심뇌혈관 환자 대응을 위해서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곳,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곳 등 24곳이 24시간 돌아간다. 복지부는 신속한 이송·전원으로 응급실의 환자 미수용 사례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전국의 6개 광역상황실은 119 구급대와 협력해 중증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을 신속하게 찾아내고 진료를 의뢰하기로 했다.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닥터헬기, 중증환자전담구급차 등 출동체계도 유지한다. 조아미 기자
국내·외“ESTA·B1 비자로 美서 해외구매 장비 관련 일 가능”
한미 비자 워킹그룹 첫 회의서 합의 주한미국대사관에 전담데스크 설치 한미 양국이 미 조지아주 한국인 노동자 집단 구금 사태 재발방지책의 하나로 대미(對美) 투자를 하는 한국 기업들의 비자 문제와 관련한 소통 창구인 ‘전담데스크’를 주한미국대사관에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외교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양국 정부 간 상용 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 첫 회의 결과 이같이 합의했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외교부는 해당 전담데스크를 “이달 중 가동할 예정이며, 상세한 내용은 미측이 주한미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는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 담당 정부대표와 케빈 김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 관리가 양측의 수석대표로 각각 참여한 가운데 열렸다. 회의를 통해 양국은 한국 기업의 활동 수요에 따라 단기상용 비자인 B-1 비자로 가능한 활동을 명확히 했다. 외교부는 “미측은 우리 기업들이 대미 투자 과정에서 수반되는 해외 구매 장비의 설치(install), 점검(service), 보수(repair) 활동을 위해 B-1 비자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로도 B-1 비자 소지자와 동일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4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체포된 한국인 대다수가 ESTA 또는 B1·B2 비자(비즈니스 목적의 단기 상용비자와 관광비자를 합친 비자)를 보유하고 있었기에, 유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미측이 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B-1 비자 및 ESTA와 관련한 내용은 미측이 조만간 관련 대외 창구를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외교부는 또 “한미 양국은 미국에 있는 한국 공관들과 미국 이민법 집행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자는 한국 측 제안에 따라, 한국 공관과 미 이민세관단속국(ICE)·관세국경보호청(CBP) 지부 간 상호 접촉선을 구축하며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외교부의 보도자료에 앞서 미 국무부도 관련 보도자료를 내고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회의 모두발언에서 “한국이 미국의 주요 투자국의 하나”라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국무부는 “미국은 미국의 산업 재건을 이끌고 한미동맹을 강화하며 공동 번영을 증진하는 투자를 강력히 지지한다”며 “미국 정부는 미국 법률에 따라 자격을 갖춘 한국 방문자가 미국에 계속 투자할 수 있도록 적절한 비자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해 한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