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11일 6·25전쟁에 참전한 비정규군 공로자 24명에게 무공훈장을 서훈했다. 이 중 비정규군 다섯 형제는 황해도 연백군에서 태어나 6·25전쟁 중 미 8240부대 예하 울팩(Wolfpack) 부대에 입대했다. 비군인 신분으로 적 지역인 황해도 일대에 침투해 첩보수집·유격활동 등 비정규전을 수행했다. 특히 차남인 고(故) 이영이 울팩 1부대 대대장은 1951년 3월부터 12월까지 개성탈환작전에서 적 1개 중대 병력을 기습, 20여 명을 사살하고 9명을 생포하는 전과를 올렸다. 이 대대장은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화랑무공훈장 수훈자로 선정됐다.
이 대대장 아들 이광철 씨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아버지와 큰아버지, 작은아버지가 참으로 자랑스럽고, 이분들의 희생을 기억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고 최제부 영도유격대(함경남도 일대 유격대) 사령관은 6·25전쟁 기간 부산 영도에 주둔하며 함경도·강원도 북부에서 공중·해안으로 침투해 유격작전을 수행했다. 1951년 9월, 50여 명의 대원과 함께 미군 수송기로 함경도 혜산군 일대에 침투한 후 신정수리전투에서 적 14명을 사살하고, 중요시설을 파괴했다. 그러나 최 사령관은 치열한 전투 속에서 적의 총탄에 맞아 전사했고, 충무무공훈장이 추서됐다.
전투 상황에서 시신을 수습할 수 없었던 유격대원들은 최 사령관을 임시로 매장한 후에 봉환하려 했으나 아직도 돌아오지 못했다.
최 사령관의 아들 최재명 씨는 “아버님은 제가 얼굴도 기억할 수 없는 어린 나이에 전사하셨지만, 국가를 위해 헌신하셨기에 늘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교사였던 고 이종학 미 8240부대 예하 동키(Donkey) 11부대장은 전쟁 발발 후 학생들과 함께 학도의용대를 결성해 반공활동을 하던 중 11부대로 편입해 유격작전을 지휘했다. 이 부대장은 1951년 4월 북한군 순찰대를 기습한 송림리전투에서 17명을 사살하고, 피란민 1200명을 구출했다. 이 같은 공로로 충무무공훈장을 받았다.
이 부대장은 휴전 직전 유격작전 중 오른쪽 팔과 다리에 총상을 입는 등 위기에 처한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했으나, 전사한 부대원들을 생각해 그동안 자신의 무공은 감춰왔다고 한다.
이 부대장의 아들 이용호 씨는 “늘 자신보다 함께 전투에 나갔던 유격대 전우를 추모하며 전우회 활동을 하셨던 아버지 모습이 생생하다. 이제라도 무공수훈을 받아 기쁘고 감사하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조아미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