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미군과 협의 대체 전력 운용 방침
국방부, 군 주요 직위자 참석 대책회의
해상초계기(P-3CK) 추락 사고로 해군 초계기 운항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우리 군이 해상작전 대비태세에 공백이 없도록 미군 초계기 지원을 비롯한 대체 전력을 운용하기로 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합참) 공보실장은 2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해상작전 대비태세 공백에 관한 질문에 “우리 군은 함정 및 해상작전헬기 등 대체전력을 운용해 초계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실장은 이어 “해양경찰의 초계기 지원을 받아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며 “추가적으로 미 인도·태평양사령부 초계기 지원에 대해서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군이 전력화 중인 P-8 포세이돈은 다음 달 작전 배치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장욱 해군 정훈공보실장도 이날 “현재 기체 잔해와 음성기록녹음장치, 사고 장면 CCTV 영상, 레이다 항적 및 통신 등 관제기록, 기체 정비 이력, 관련자·목격자 조사 등을 다각도로 하고 있다”며 “합동조사위원회는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사고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결과를 투명하게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방부는 이날 오전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주관으로 군 주요 직위자가 화상으로 참석한 가운데 ‘해군 해상 초계기 추락 관련 대책회의’를 열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회의에서는 상황의 엄중함을 정확히 인식하고 작전대비태세, 교육훈련, 부대 운영 등에 관한 미흡한 분야를 전반적으로 다시 점검했다”며 “사망자에 대해 유족연금, 보훈급여 등 보상 지원에 만전을 기할 뿐만 아니라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예방 활동 등 후속조치에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아미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