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1함대·동해해양경찰청 MOU
해수부 항만기본계획 연계 추진
부지 확보·공동 지침 개발 등 협력
|
해군1함대와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이 손잡고 동해항 ‘민·관·군 스마트정비지원센터’ 건립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1함대는 1일 동해 군항에 정박한 해경 3018함에서 ‘스마트정비지원센터 추진 관련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해양수산부(해수부)의 항만기본계획과 연계해 이뤄졌다. 항만기본계획은 국제정세 변화와 산업 수요를 반영해 해수부가 10년 단위로 수립하고, 5년마다 수정·보완하는 계획이다. 현재 동해 신항 건설에 따라 동해·묵호항의 항만 기능 재배치를 하고 있다.
동해해경청과 1함대는 동해항에 1만~1만5000톤급 건선거(Dry Dock)를 갖춘 민·관·군 스마트정비지원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이 센터는 해군·해경·해수부를 비롯한 동해권 기관의 선박을 유지·보수·정비(MRO)할 수 있는 시설이다. 특히 중·대형함을 건선거에 올려 수리함으로써 정비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군항 인근에 정비시설을 건립하면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정비인력 유입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된다.
협력의 첫 단추인 MOU 체결식에는 곽광섭(소장) 1함대사령관과 김성종 동해해경청장 등 두 기관 주요 직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두 기관은 스마트정비지원센터 구축을 위한 부지 확보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또 공동 운영을 위한 규정·지침을 개발하고, 관련 자료·정보·인력·장비 등을 상호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정비지원센터 설립계획을 구체화하고, 5차 항만기본계획 수립 때 소요를 제기한다는 방침이다.
곽 사령관은 “동해를 둘러싼 위협은 점차 고도화·다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선 작전부대의 전투력 창출여건이 지속 보장돼야 한다”며 “민·관·군 스마트정비지원센터가 건립된다면 중·대형함이 건선거 수리를 위해 진해 군항까지 이동하는 소요가 줄어든다. 이는 작전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부 예산 절감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조수연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