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방위사업추진위원회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국외구매
대통령 헬기 구매계획안도 의결
유사시 적 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시키는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 개발이 본격화하게 됐다. 육·공군 특수부대가 사용할 대형기동헬기를 국외 구매방식으로 확보하는 사업도 구체화됐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3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제168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를 열고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기본계획안’ 등 3건을 심의·의결했다.
전자전기(Block-I) 사업은 평시에는 주변국 위협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는 전자공격(Jamming)을 통해 적 통합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교란하는 전자전기를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2034년까지 약 1조9206억 원이 투입된다.
방사청은 “원거리 전자전 수행 능력을 보유한 전자전기를 확보, 전시 적 핵심전력 타격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 공중 전력의 생존성과 합동작전수행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구매계획안’도 이날 방추위를 통과했다. 육군특수전사령부 특임여단의 공중침투 능력과 공군의 탐색구조작전 능력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를 2033년까지 약 3조3657억 원을 들여 국외구매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최신 항법·통신·생존장비가 장착된 특수작전용 헬기를 활용한 우리 군의 독자적인 특수작전 항공 지원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공군 전투탐색구조 수행 능력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방추위에선 생존성과 지휘통제, 적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이 향상된 신규 지휘헬기를 도입하는 ‘지휘헬기-II 구매계획안’도 의결됐다. 지휘헬기는 대통령의 안정적인 지휘공수 임무를 맡는다. 마찬가지 국외 구매 방식으로 이뤄지며 사업비는 약 8700억 원, 기간은 2031년까지다.
김해령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