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품원, 감항인증체계 수립 추진
신속 도입 제도적 기반 마련 목적
주요 신기술 분석 국내외 비교·검토
우리 군이 ‘하늘을 나는 택시’ ‘저소음 전기 수송기’ 등 미래형 항공기(AAV·Advanced Air Vehicle)의 군사 분야 도입을 위한 준비 작업에 돌입한다. AAV의 군사적 활용을 염두에 두고 안전성과 작전 투입 적합성을 평가할 ‘군 감항인증 기준’ 마련에 착수한 것이다.
국방기술품질원은 29일 “민간업체와 협력해 다음 달부터 약 6개월간 ‘신기술 적용 AAV 군 감항인증 기준 수립 방안 연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감항인증이란 항공기 성능·기능 등이 비행안전에 적합한지를 일컫는 ‘감항성(堪航性)’을 평가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이를 인증하는 제도다. 군용 항공기는 방위사업청을 중심으로 육·해·공군, 국방과학연구소, 기품원 등 5개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다.
AAV는 수직이착륙, 저소음, 전기·수소 기반 추진, 무인 비행 등 기존 항공기와는 구조부터 다른 차세대 기술이 집약된 플랫폼이다. 군에서도 작전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 추세에 맞춰 AAV를 정찰·수송·전투 지원 등 여러 용도에 활용하는 군사적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세계 각국도 AAV의 군사적 활용을 본격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미군은 긴급 수송이나 작전지역에 병력을 투입할 때 쓸 목적으로 ‘전기 추진 수직이착륙(eVTOL) 비행체’ 개발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군이 보유한 감항인증 기준으로는 AAV 안전·작전 적합성 등을 판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 기준이 전투기·수송기 등 일반 군용기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연구는 추후 AAV의 신속 도입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목적으로 이뤄진다. 기품원은 AAV에 적용될 주요 신기술을 분석하고 국내외 기준과 표준을 비교·검토해 군 감항인증 기준을 도출할 예정이다. 기준을 내는 것이 어려운 신기술은 별도 분류해 향후 추가 연구한다는 방침이다.
기품원 관계자는 “AAV가 기존 군 항공기와 함께 비행하려면 안전성이 입증돼야 한다”며 “새로운 기준을 만드는 것은 미래 전장에 대비한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단순한 기술 대응을 넘어 미래 전장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제도적 기틀을 다지는 과정이라고 진단했다. 이창하(예비역 대령) 전 육군본부 감항인증실장은 “AAV는 여러 방면에서 군사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며 “국내 업체에서 AAV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감항인증 기준이 없어 어려운 상황이기에 이런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 김해령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