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국방안보

접경지역 복무 제대군인에 무료 말라리아 검사

입력 2025. 04. 09   16:56
업데이트 2025. 04. 09   16:58
0 댓글

최대 2년까지 장기 잠복 후 발병 특성
증상 의심 땐 보건소·군 병원 방문 권고

국방부와 질병관리청이 남북 접경지역에서 복무한 제대군인 중 말라리아 환자가 연이어 나타나고 있다며 ‘무료 검사’를 권고했다.

국방부는 9일 “2023년 이후 600명 이상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했는데, 이 중 현역·제대군인이 약 20%를 차지한다”며 이같이 당부했다.

국내 말라리아는 물린 후 수주에서 최대 2년까지 장기 잠복 후 발병되는 특성이 있다. 군인은 접경지역 근무, 야간 야외훈련 등으로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특히 크다. 실제로 이달 들어 접경지역인 경기 파주시와 강원 철원군에서 복무하다 전역한 예비역 2명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두 환자 모두 전역 후 말라리아 증상이 발현됐다.

질병관리청은 전역 후 2년간 발열, 두통, 식욕부진 등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나타난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전국 보건소에서 무료로 신속진단키트검사(RDT)를 하고 있다.

국방부도 전국 14개 군 병원에서 전역 후 1년 동안 말라리아 무료 진단 검사, 치료제 처방을 한다. 제대군인의 관리는 전 지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접경지역 장병은 말라리아모기가 활동하는 시기(4~10월)에 물리지 않도록 기피제를 반드시 뿌리고, 훈련 등 야외 취침 때 모기장을 사용해 달라”며 “전역 이후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보건소, 군 병원을 방문해 검사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해령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