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트라우마로 고립 가능성 높아
AI 안부전화·IoT 활용 시범사업도
|
앞으로 현관문·냉장고 열림 상태, TV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국가유공자의 ‘고독사’를 예방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국가보훈부(보훈부)는 2일 “취약계층 국가유공자의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 예방을 위해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6·25전쟁과 베트남전쟁 등에 참전한 국가유공자는 전쟁 트라우마와 특수한 조직문화를 겪으면서 사회적 고립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미국, 영국, 호주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고독사에 취약한 국가유공자의 특성을 고려해 적극적인 예방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대책은 취약 국가유공자 관리대상 확대, 최신 정보통신기술(ICT)과 민·관 협업 등을 통한 맞춤형 예방,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을 골자로 한다.
우선 고독사 위험 국가유공자 관리대상을 1인 가구, 취약계층, 보훈돌봄서비스 미수혜자를 포함해 기존 65세 이상에서 전 연령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관리대상이 6600여 명에서 8500여 명으로 확대됐다. 보훈부는 4월부터 전수조사를 추진해 고·중·저 위험군, 의심군 4단계로 세분화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고위험군, 위험군, 의심군 등 3단계로 구분했다.
최신 ICT를 활용한 ‘단계별 고독사 예방 서비스’도 지원한다. 특히 고위험군에는 기존의 인공지능(AI) 안부 전화와 함께 올해 처음으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실시간 안부 확인 시범사업을 운영한다. 사업은 전력량 정보를 확인하거나, 현관문·화장실·냉장고 등에 센서를 부착해 문 열림 정보로 실시간 안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임채무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1
2
3
4
5
6
7
8
9
10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