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피해복구로 작전지속 능력 보장
해군작전사령부는 12일 부산작전기지에서 항만 피해복구훈련을 했다. 훈련에는 부산기지방호전대와 5기뢰/상륙전단 59기동건설전대 장병 50여 명, 굴삭기·크레인 등 중장비 12대가 투입됐다.
장병들은 유사시 피격된 항만을 최단 시간 내 복구해 부산기지 항만 사용과 작전 지속 능력을 보장하는 절차를 숙달했다.
훈련은 적의 기습공격으로 항만이 피해를 본 상황을 가정했다. 피해복구대가 긴급 투입돼 화학작용제를 비롯한 인체 유해물질과 위험성폭발물을 탐지했다. 안전을 확보한 가운데 피해 규모를 파악해 복구 공법을 결정하고, 중장비로 폭발 잔해를 정리했다. 이어 피격 부두 바깥쪽에 콘크리트 블록을 쌓고 안쪽은 토사로 채우는 보강토 옹벽 공법을 적용해 항만 기능을 정상화했다.
이규연(소령) 부산기지방호전대 공병대장은 “이번 훈련을 통해 항만 피해복구 절차를 체득하며 협동 공병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했다”며 “실전적인 훈련을 계속해 전시 부산작전기지의 작전지속 능력을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기지 방호 철통같이…생존력 높인다
해군2함대는 백령도 일대에서 해병대·경찰 합동 기지방호훈련을 했다. 2함대 822기지, 해병대6여단 예하 대대, 백령파출소가 참여한 훈련은 북방한계선(NLL) 사수를 위한 서북도서 기지의 생존성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은 해군·해병대·경찰의 합동작전 수행 능력을 기르고, 기지방호 행동화 절차를 습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훈련은 신원을 알 수 없는 인원이 기지에 침투한 것으로 시작됐다. 전투지휘소는 거동수상자 위치를 파악하고, 해군·해병대 기동타격대를 투입했다. 동시에 백령파출소에 상황을 전파한 뒤 군·경 합동 거동수상자 검거작전을 개시했다.
경찰은 도로를 통제하고 지역주민의 대피소 이동을 도왔다. 기동타격대 장병들은 교전 절차에 따라 거동수상자를 제압했다. 훈련은 해군 정보분석조와 경찰이 침입 경로를 추적하는 등 합동조사를 벌이는 것으로 막을 내렸다.
조연탁(중령) 2함대 822기지장은 “해군·해병대·경찰의 합동 기지방호 능력을 검증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감시·경계작전에 만전을 기해 물샐틈없는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속도가 생명…전사상자 처치 숙달
해군인천해역방어사령부(인방사)는 인천 군항에서 대량 전사상자 처치 훈련을 했다. 훈련은 적 공격에 의한 대량 전사상자 발생에 대비해 환자 유형을 빠르게 분류하고, 응급처치·후송하는 의무지원 능력 배양을 목표로 했다.
의무대 장병 20여 명이 참여한 훈련은 △상황 접수 및 출동 준비 △대량 전사상자 처치반 현장 출동 △환자 분류 및 응급처치 △환자 분류소 후송 및 인근 병원 후송 △사후강평 순으로 진행됐다.
전정덕(대위) 인방사 의무대장은 “전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는 의무지원 능력과 자신감을 함양했다. 전우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골든타임은 우리 손에 달려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임무를 수행하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전승보장' 군 통제운영선박 점검
해군군수사령부는 경남 통영여객선터미널에서 군 통제운영선박 점검 및 인도·인수 훈련을 하며 전투부대의 작전지속 능력을 보장하는 군수지원태세를 확립했다.
훈련에는 해군군수사 수송관리처, 마산해양지방수산청,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관계관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동원된 민간 선박이 군 통제운영선박 임무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했다. 선박의 주요 기관 장치, 조타실 작동 상태, 안전항해를 위한 필수 시설·장비 등을 자세히 점검했다. 또 동원된 민간 선박에 대한 전시 해상수송지원 능력을 전반적으로 분석·평가했다. 전시 자원동원 관련 법률 등 규정에 따른 인도·인수 절차를 익혔다.
김종만(준위) 해군군수사 군통제선박 담당은 “전시 우리 군의 해상수송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군 통제운영선박을 점검했다. 전승을 보장하는 군수지원태세 확립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