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오폭사고 중간조사·대책 발표
비정상 상황 대비 임무 진행 중첩 감시
보고체계 보강·지휘관 관리책임 강화
공군은 10일 경기 포천시에서 발생한 ‘공군 전투기 오폭사고’와 관련한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실무장 표적 좌표의 중복확인 절차를 보완하는 등 재발 방지대책을 내놨다.
공군은 먼저 현재 수행 중인 표적 좌표 확인 절차는 물론 최종공격 단계 진입 전 편조 간 표적 좌표를 상호 확인하는 절차, 중앙방공통제소(MCRC)에 실무장 전담 통제사를 지정해 임무 편조와 표적 좌표를 확인하는 절차를 추가하기로 했다.
비정상 상황 발생 시 조종사가 신속하게 전파하고, 적절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보고체계를 보강키로 했다. 주요 실무장 임무 때 부대 지휘관에게 비행계획과 임무 결과를 대면 보고하는 등 지휘관의 관리 책임도 강화한다. 더불어 비정상 상황에 대비해 비행시현체계(ACMI DDS)와 MCRC 전담 콘솔을 운영해 임무 진행 상황을 중첩 감시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번 사고 조사 결과를 전 조종사에게 교육해 실무장 훈련 시 경각심과 책임감을 제고하고, 주기적인 비정상 상황 조치훈련으로 대응 능력을 높이기로 했다.
공군은 오폭사고로 큰 피해와 고통을 겪은 주민들이 국가배상 절차에 따라 신속히 배상받도록 포천시, 국방부 등과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국방부도 이날부터 국방부 조사본부 인력을 투입해 훈련 준비-실시-사후 단계까지 전 분야를 대상으로 검증하고, 조사·수사에 착수했다.
사고 원인은 KF-16 전투기 조종사가 최초 폭격 목표를 잘못 입력한 뒤 3차례에 걸친 표적 확인 절차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종사는 △비행임무계획장비(JMPS)를 활용한 비행 준비 단계 △비행자료전송장치(DTC)를 전투기에 로딩 후 이륙 전 점검 단계 △표적지역 진입 및 무장 투하 단계 등 3차례 표적을 확인하는 절차를 이행하지 않았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이날 대국민 사과 발표에서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사고였고, 다시 일어나서도 안 될 사고”라며 “이번 사고에 대한 모든 책임은 참모총장인 제게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부족했던 부분을 통렬히 반성하고, 뼈를 깎는 각오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아 다시는 이런 사고가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아미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