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국방안보

우크라 북한군 포로 “한국 꼭 가고 싶다”

입력 2025. 03. 04   17:12
업데이트 2025. 03. 04   17:13
0 댓글

유용원 국회의원 현지서 두 명 면담
리씨 “부모님 만나려면 가야” 결심
귀순 의향 백씨도 가족 때문 고민 중
강제 송환 안 되도록 외교당국 요청

 

지난달 23~26일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유용원 의원이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러시아 파병 북한군 병사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유용원 의원실 제공
지난달 23~26일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유용원 의원이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러시아 파병 북한군 병사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유용원 의원실 제공



최근 국내 언론을 통해 귀순할 생각이 있음을 밝혔던 러시아 파병 북한군 병사가 확실한 귀순 의사를 표명했다. 그와 함께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또 다른 병사 역시 귀순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유용원 의원은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드레이 니콜라이엔코 의원과 얄타유럽전략(YES) 특별회의 주최 측의 공식 초청으로 지난달 23일부터 26일까지 우크라이나를 방문했으며, 그 과정에서 생포된 북한군 포로 2명과 면담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정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우크라이나 당국에 직접 이번 면담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유 의원은 “두 사람을 보는 순간 연민, 동정, 측은지심 등 온갖 감정으로 금세 눈가가 뜨거워졌다”며 “참혹한 현실 속에 내던져진 두 젊은이의 두려움과 절망, 깊이 서려 있는 심적 고통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고 당시 상황을 떠올렸다.

그는 70분가량 면담을 하며 앞서 “귀순을 80% 결심했다”고 말했던 리모 씨가 확실히 귀순을 결심한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유 의원이 공개한 녹취록에서 리씨는 “지금은 귀순 의사가 어느 정도 되느냐”는 질문에 “난 한국으로 꼭 가고 싶어요. 앞으로 우리 부모님들과 만나기 위해 꼭 가고 싶어요”라고 답했다. 턱에 입은 총상으로 발음은 정확하지 않았지만 그는 “한국에 가면 수술을 다시 받을 수 있느냐” “내가 필요한 집이나 가족도 이룰 수 있느냐” 등 귀순 후 현실적인 문제에 관한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또 다른 포로 백모 씨는 귀순 의향을 묻는 질문에 “결심이 생기려 하는 것 같기도 하다. 조금 더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유 의원은 “절반 정도 마음이 기운 것 같다”며 북한에 있는 가족 때문에 고민하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리씨는 면담에서 파병된 북한군 피해가 상당히 심각하다고 증언했다. 그는 북한군의 피해 정도를 묻자 “전투 상황을 놓고 보면 피해가 엄청 크다”고 답했다. 리씨에 따르면 그가 소속된 부대는 앞서 전투에 참가한 전투단이 모두 피해를 당한 뒤 투입된 마지막 전투단이었다. 유 의원은 “파병된 북한 군인들이 척박한 외지에서 사지로 내몰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국내외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포로로 잡힌 북한군이 스스로 자폭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증언도 있었다. 백씨는 “(자폭을) 많이 목격했고, 나 역시 다쳐 쓰러질 당시 자폭용 수류탄을 갖고 있었다”고 진술했다. 리씨 역시 자폭하는 모습을 직접 본 적이 있다고 했다. 다만 백씨는 “그렇게(자폭) 하라고 교육하는 건 없었다”고 선을 그은 뒤 “자기 생각에 싸우다 잡히면 그 자체가 조국을 배반하는 일이기에 스스로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 사람 외에 추가 포로는 현재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유 의원은 추가 포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사상자가 4000여 명이고, 부상 입은 사람이 꽤 있는 것으로 아는데 포로가 2명뿐이라는 건 군사상식에 맞지 않는다”면서도 “나도 궁금해 질문을 했는데 (우크라이나 당국이) 단호하게 없다고 말했다”고 답했다.

유 의원은 포로로 잡힌 두 사람이 북한으로 강제 송환되지 않도록 외교 당국이 총력을 다해 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외교 당국은 이들의 귀순 의사가 확인되면 수용하겠다는 원칙을 밝혔고, 우크라이나 당국도 한국 송환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유 의원은 “이들의 본국 송환은 사실상 사형선고와 다름없다”며 “향후 종전협상에서 포로 처리 문제를 논의할 때 북한군 포로에 대한 우리의 송환 의지가 패싱되지 않도록 정부가 신속하고 각별한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역설했다. 맹수열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