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해군·해병대

모든 함정 정비를 첨단 기술로…민·군 협의체 출범

입력 2024. 09. 12   17:09
업데이트 2024. 09. 12   17:25
0 댓글

해군 ‘함정 MRO’ 추진 첫 회의 
유지·보수·운영에 민간자원 활용
내년 대형수송함 최초 적용 예정
“상비병력 감축 등 미래 환경 대비”

 

12일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함정 MRO 추진을 위한 민·군 협의체 첫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해군 제공
12일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함정 MRO 추진을 위한 민·군 협의체 첫 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해군 제공



해군이 인구절벽·첨단전력 확대 등 국방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민간자원을 활용한 함정 MRO(유지·보수·운영)를 추진한다.

MRO는 장비의 안정적 운용과 성능 유지를 위한 모든 정비 활동을 가리킨다. 그전에는 정비부대에서 이 역할을 수행했지만, 앞으로는 민간자원을 활용해 함정 MRO를 하겠다는 것이 해군의 구상이다.

해군은 12일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함정 MRO 추진을 위한 민·군 협의체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국방부, 해군본부, 방위사업청, 한국국방연구원, 국방기술품질원,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대한기계학회, 한국선급,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HJ중공업, SK오션플랜트 등이 참가했다.

신유찬(준장) 해군본부 군수참모부장이 주관한 회의에는 기관·업체 관계관 30여 명이 참석해 △협의체 구성 및 운영계획 소개 △해군 함정 정비개념 변경 및 MRO 추진계획 발표 △의견발표 및 토의 등을 했다.

해군은 이번에 처음으로 가동한 민·군 협의체를 통해 민·군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기적으로 회의체를 운영하며 함정 MRO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나간다는 구상이다.

민간자원을 활용한 함정 MRO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에서 오래전부터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1990년대부터 민간조선소가 수상함 MRO를 수행하도록 해왔으며, 전략적 차원에서 동맹국에 MRO 위탁도 확대하고 있다. 최근 한화오션이 국내 조선소 중 처음으로 미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함의 MRO를 맡은 사례가 대표적이다.

국내 방산기업들도 함정 MRO 사업을 미래 성장사업으로 여기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 해군 함정 MRO 사업만 연간 20조 원 규모며, 세계적으로는 관련 시장이 연간 80조 원 이상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군 입장에서도 민간자원을 활용한 함정 MRO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함정이 첨단화·대형화되고, 무기체계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함정 정비에 첨단 정비기술과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절벽에 따른 군 병력 감축, 정비부대 및 함정 승조원의 업무 경감 차원에서도 민간의 역할이 필요하다.

해군은 2029년까지 함정 MRO 개념 정립을 위한 시범사업에 나선다. 2025년에는 대형수송함 성능개량 및 창정비 사업에 MRO를 최초로 적용할 예정이다. 시범사업을 통해 MRO 수행 능력을 측정한 뒤, 구축함·호위함 등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2040년부터는 함정 MRO를 전면 시행한다는 구상이다.

신 부장은 “해군은 상비병력 감축, 첨단전력 확대,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등 미래 정비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민간업체의 함정 MRO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새로 발족한 함정 MRO 민·군 협의체를 통해 MRO 사업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추진계획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원준 기자



인터뷰 / 신유찬 해군본부 군수참모부장 
“정비 신뢰도 향상…작전 임무·훈련에만 전념하는 여건 조성될 것” 

“해군은 함정 MRO를 ‘함정의 수명주기 동안 안정적인 운용과 성능보장을 위해 민간자원을 활용해 함정을 정비하는 모든 활동과 서비스’로 정의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발족한 민·군 협의체는 함정 MRO가 첫발을 디뎠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신유찬(준장) 해군본부 군수참모부장은 민간자원 활용을 골자로 한 함정 MRO가 가까운 미래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을 강조했다.

첨단 무기체계가 집약된 함정을 정비하기 위해선 마찬가지로 첨단 정비기술이 필요하다.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력 감소 상황에서 현재 인력만으로 함정 정비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다. 해군이 함정 MRO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려는 이유다.

“첨단기술의 집약체인 함정 정비에 민간자원과 기술력이 투입되면 정비 신뢰도가 향상될 것입니다. 신뢰도는 함정을 고장 없이 운용할 수 있는 가용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비 신뢰도가 높아지면 갑작스러운 고장을 조치하는 비계획정비가 감소해 함정의 작전 지속능력이 향상됩니다. 또 함정 승조원의 부대정비 업무가 획기적으로 감소하면서 작전 임무와 훈련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정비부대의 부담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함정 정비는 크게 군에서 직접 정비를 수행하는 군직 정비와 외부업체를 통해 진행하는 외주 정비로 나뉜다. 그동안은 군수지원부대와 정비지원부대에서 장비별로 군직 정비를 전담해 왔다. 그러나 첨단기술이 적용된 장비가 늘어나고, 다품종 소량으로 도입되는 함정 장비의 특성상 부대의 정비 부담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함정 MRO가 도입되면 해군과 계약을 맺은 업체가 함정 정비를 통합해 진행한다. 수많은 외주 정비업체를 MRO 계약업체가 직접 조정·통제하며 통합공정관리부터 안전, 성과관리, 수리부속 관리까지 다양한 군수업무를 수행하게 된다고 신 부장은 설명했다.

“군이 주도하던 정비개념이 민·군 협업이 강화되는 개념으로 전환하는 셈입니다. 함정 MRO는 결국 민·군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서로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서로에게 이득이 되기 위해선 무엇보다 해군, 방위사업청, 방산기업 사이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합니다. 해군은 오늘 발족한 민·군 협의체를 통해 민과 군이 하나가 되어 우리 국방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해군은 시범사업을 거친 뒤 2040년부터 함정 MRO를 전면 시행한다는 구상이다. 해양무인체계를 비롯해 새롭게 도입하는 무기체계에 대해선 소요제기 단계부터 설계·건조, 운용 전반에 MRO 개념을 선제적으로 적용해 무기체계의 수명주기를 관리하고, 전투준비태세를 유지할 방침이다.

이원준 기자/사진=해군 제공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