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해발굴작전은 6·25전쟁 당시 나라를 위해 하나밖에 없는 목숨을 바쳤으나, 아직 수습되지 못한 채 이름 모를 산야에 홀로 남겨진 12만3000여 위(位) 호국 영웅들의 유해를 찾아 조국의 품으로 모시는 국가적 호국보훈사업이다.
얼마 전 우리 선진대대는 유해발굴 부대로 선정됐고, 포대장인 나 역시 사명감과 책임감을 느끼고 이 작전에 참여하게 됐다.
유해발굴작전에 앞서 유해발굴팀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직접 부대를 찾아 사전 교육을 진행했다. 대대장님과 포대장들은 작전지역인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진현리 일대에서 지형정찰을 했고, 숭고한 마음 가짐으로 정성스레 유해발굴작전을 준비했다.
드디어 작전에 투입하기 전날 나는 포대원들을 모두 불러 모아 이야기했다. “여러분들의 꿈은 무엇입니까? 포대장은 평범한 아빠가 되는 것이 꿈입니다.”
내 말이 끝나기 무섭게 용사들과 간부들이 웃기 시작했다. “반대로 여러분들이 가슴속에 간직한 꿈을, 그 꿈을 생각할 수 있었던 것은 누구 때문입니까?”
그때부터 포대원들은 개구쟁이 같은 표정에서 웃음기 없는 표정으로 포대장을 직시했다. 그리고 나는 용사들에게 마지막으로 한 마디를 덧붙였다.
“우리가 하는 작전은 단순 삽질이나 작업이 아닌, 우리가 원하는 꿈을 생각하고 가질 수 있도록 해준 선배 전우님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입니다.”
우리는 지난 10월 11일부터 11월 11일까지 발굴 및 복토작업을 했다. 부대원들의 거친 숨소리가 발굴 현장을 가득 채워나갔으며, 여기저기서 발굴병을 찾는 소리가 들려왔다. 수많은 탄피, 폭발물, 그리고 유해까지….
나 또한 우리 포대원들과 함께 발굴에 임했다. 반드시 찾아서 호국의 영웅들을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모시겠다는 마음 가짐으로 최선을 다했다. 그 결과 나는 허벅지 뼈로 추정되는 유해 1구를 찾았으며, 그 주변을 살피다가 인식표 하나를 발견했다.
나는 급히 유해발굴팀장님을 불러 확인을 부탁했다. 인식표에는 군번이 작게나마 적혀있는 상태였다. 유해발굴팀장님은 바로 군번을 통해 소속을 확인했고, 1953년 7월 24일 전사하신 국군11사단 13연대 소속 ‘강명곤’ 님의 인식표라는 것을 알게 됐다. 정전협정이 1953년 7월 27일…. 협정 체결을 불과 3일 남겨두고 역사 속에 산화하신 것이다.
대한민국의 꿈 많은 한 청년은 총알이 빗발치는 상황을 이겨내고 고향으로 돌아가 가족 품에 안기고 싶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우리 국군 장병들은 이를 기억하고 가슴에 되새기며 우리가 꾸는 꿈을, 누군가가 꾸고 있는 꿈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번 작전에서 유해 11구, 유품 1만743점을 발굴한 선진대대 장병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