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 안장식
수원·백마고지·백석산전투 등서 전사
박정환 육참총장 “영웅 끝까지 찾을 것”
70여 년 전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싸우다 장렬히 산화한 12인의 호국영웅이 영면에 들어갔다. 육군은 29일 국립서울현충원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박정환 참모총장·여운태 참모차장 주관으로 12위(位)의 6·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 안장식을 엄수했다. 합동 안장식에는 전사자 유가족과 국방부·국가보훈처 관계자, 육군본부 부·실장 등이 참석해 호국영웅들을 추모했다.
12위의 호국영웅 중 서울현충원에서 영면에 들어간 유해는 고(故) 박동지 이등상사와 김일수·노재균·이우서·홍인섭 하사, 안승원·김종술·김학수 일병 등 8위다. 고 김재규 이등중사와 박기성·조응성 하사, 김진욱 일병 등 4위의 유해는 유가족 요청에 따라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박동지 이등상사와 안승원 일병은 6·25전쟁 당시 1사단 12연대 소속으로 참전해 수원 북방전투 중 전사했다. 이들의 유해는 경기도 성남시 동원동에서 발굴됐다. 박 이등상사는 1948년 결혼 1년 만에 입대했다가 1950년 7월 23세로 전사했고, 화랑무공훈장이 추서됐다. 고인의 아내는 평생 남편이 군복 입고 찍은 사진을 방에 걸어 두고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다 2019년 눈을 감았다. 전북 정읍에서 1926년 태어난 안 일병은 1949년 입대해 1950년 6월 전사했다.
김일수·조응성 하사는 9사단 30연대 소속으로 참전해 백마고지전투에서 전사했다. 유해는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DMZ) 백마고지에서 발굴됐다. 1932년 경북 칠곡에서 태어난 김 하사는 농업에 종사하다 전쟁이 발발하자 스무 살에 입대했다. 1952년 10월 백마고지에서 진지를 사수하는 방어작전 간 적 포탄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1928년생인 조 하사는 1952년 아내와 다섯·세 살배기 딸을 뒤로한 채 입대했다가 같은 해 산화했다. 후일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김재규 이등중사와 이우서 하사는 7사단 8연대 소속으로, 박기성 하사는 8사단 10연대 소속으로 참전해 백석산전투에서 전사했다. 박 하사에게는 화랑무공훈장이 추서됐다.
노재균 하사와 김진욱 일병은 7사단 3연대 소속과 8사단 소속으로 각각 참전해 춘천 부근 전투에서 전사했다. 김학수 일병은 5사단 35연대 소속으로 참전한 서화리전투에서, 김종술 일병은 8사단 16연대 소속으로 참전한 영천지구전투에서, 홍인섭 하사는 1사단 11연대 소속으로 참전한 다부동전투에서 산화했다.
박 총장은 “선배님들이 이루신 승리의 발자취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 번영에 든든한 토대가 됐다”며 “육군은 이 땅 어디에선가 기다리고 계실 또 다른 호국영웅들을 끝까지 찾아 단 한 분도 홀로 남겨 두지 않고 사랑하는 가족 품으로 모실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해령 기자
6·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 안장식
수원·백마고지·백석산전투 등서 전사
박정환 육참총장 “영웅 끝까지 찾을 것”
70여 년 전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싸우다 장렬히 산화한 12인의 호국영웅이 영면에 들어갔다. 육군은 29일 국립서울현충원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박정환 참모총장·여운태 참모차장 주관으로 12위(位)의 6·25전쟁 전사자 발굴유해 합동 안장식을 엄수했다. 합동 안장식에는 전사자 유가족과 국방부·국가보훈처 관계자, 육군본부 부·실장 등이 참석해 호국영웅들을 추모했다.
12위의 호국영웅 중 서울현충원에서 영면에 들어간 유해는 고(故) 박동지 이등상사와 김일수·노재균·이우서·홍인섭 하사, 안승원·김종술·김학수 일병 등 8위다. 고 김재규 이등중사와 박기성·조응성 하사, 김진욱 일병 등 4위의 유해는 유가족 요청에 따라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박동지 이등상사와 안승원 일병은 6·25전쟁 당시 1사단 12연대 소속으로 참전해 수원 북방전투 중 전사했다. 이들의 유해는 경기도 성남시 동원동에서 발굴됐다. 박 이등상사는 1948년 결혼 1년 만에 입대했다가 1950년 7월 23세로 전사했고, 화랑무공훈장이 추서됐다. 고인의 아내는 평생 남편이 군복 입고 찍은 사진을 방에 걸어 두고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다 2019년 눈을 감았다. 전북 정읍에서 1926년 태어난 안 일병은 1949년 입대해 1950년 6월 전사했다.
김일수·조응성 하사는 9사단 30연대 소속으로 참전해 백마고지전투에서 전사했다. 유해는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DMZ) 백마고지에서 발굴됐다. 1932년 경북 칠곡에서 태어난 김 하사는 농업에 종사하다 전쟁이 발발하자 스무 살에 입대했다. 1952년 10월 백마고지에서 진지를 사수하는 방어작전 간 적 포탄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1928년생인 조 하사는 1952년 아내와 다섯·세 살배기 딸을 뒤로한 채 입대했다가 같은 해 산화했다. 후일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김재규 이등중사와 이우서 하사는 7사단 8연대 소속으로, 박기성 하사는 8사단 10연대 소속으로 참전해 백석산전투에서 전사했다. 박 하사에게는 화랑무공훈장이 추서됐다.
노재균 하사와 김진욱 일병은 7사단 3연대 소속과 8사단 소속으로 각각 참전해 춘천 부근 전투에서 전사했다. 김학수 일병은 5사단 35연대 소속으로 참전한 서화리전투에서, 김종술 일병은 8사단 16연대 소속으로 참전한 영천지구전투에서, 홍인섭 하사는 1사단 11연대 소속으로 참전한 다부동전투에서 산화했다.
박 총장은 “선배님들이 이루신 승리의 발자취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 번영에 든든한 토대가 됐다”며 “육군은 이 땅 어디에선가 기다리고 계실 또 다른 호국영웅들을 끝까지 찾아 단 한 분도 홀로 남겨 두지 않고 사랑하는 가족 품으로 모실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해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