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성곽순례 부산/경상

하동읍성...백의종군 충무공 머물러

입력 2022. 06. 08   09:27
업데이트 2022. 11. 18   09:06
0 댓글

하동읍성

河東邑城 

■ 위치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 양경산(陽慶山) 

■ 축조 : 조선 태종 17년(1417) 

            면적 123,017㎡, 길이 1.4㎞, 높이 1.2m, 너비 1∼2m 

            해안 일대에 쌓은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연해(沿海)읍성 

            계곡을 감싸듯 쌓은 포곡식 석성(石城) 

 ■ 사적 : 사적 제453호 (2004년 5월 31일 지정) 


서문에서 바라본 하동읍성.
서문에서 바라본 하동읍성.


하동읍성은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의 해발 149m 높이의 양경산(陽慶山)에 위치한 조선시대 성곽이다. 조선 태종 17년(1417)에 해안 일대에 쌓은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연해(沿海)읍성으로, 양경산에서 남해를 바라보며 고하리로 내려오는 능선을 따라 계곡을 감싸듯 쌓은 포곡식 마름모꼴 석축성이다. 평지나 구릉 정도에 축조된 여느 읍성과 달리 산성(山城)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당시에는 읍성 앞에 흐르는 주교천(舟橋川)까지 배가 드나들었다고 한다. 


하동읍성은 고현성(古縣城)으로도 불리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 이곳이 통일신라 이후 조선 임진왜란 때까지는 행정의 중심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1593년) 때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이끄는 왜군의 공격을 받아 성이 함락되면서 객사, 관아, 향교 등이 불타버려 1661년에 관아를 횡포촌 내기동으로 옮겨야(移邑) 했다. 1667년 다시 성으로 돌아오기는 했지만 숙종29년(1703)에 현재의 하동읍인 진답면 우동으로 옮겨갔다. 


위성사진(네이버)으로 본 하동읍성과 성곽 구조도.
위성사진(네이버)으로 본 하동읍성과 성곽 구조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 포털’ 등의 설명에 따르면 ‘성은 현재 잔존 둘레가 1,400m이고, 폭 4.5m이며, 잔존 최고 높이는 5.2m, 성내 면적은 12만 3017㎡’이다. 동·서·남쪽 벽에 성문을 비롯해 성문 밖을 둘러막은 옹성, 성벽 일부분을 네모나게 덧댄 방대상(方臺狀)의 치성 등을 쌓았다. 


서문에서 북쪽으로 오르는 성곽.
서문에서 북쪽으로 오르는 성곽.


또 적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성 주위를 둘러 도랑을 파 해자(垓字)를 만들고 그 바깥으로 흙둔덕인 양마장羊馬墻)을 쌓았다. 문헌에 기록된 양마장이 발견된 것은 최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원된 남문~서문 성곽.
복원된 남문~서문 성곽.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둘레 1,019척(尺), 높이 13척으로 성안에 우물 5개, 연못 1개가 있었다고 하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여장의 높이가 3척, 적대(敵臺)가 11개, 원아축 4문, 옹성이 3개로 성은 높으나 협소하여 전시에 방비하기가 힘들다고 적고 있다. 


하동읍성에서 눈에 띄는 것은 이순신 장군이 백의종군하면서 이곳에 머물렀다는 점이다. 장군은 1597년 4월 1일 의금부에서 풀려난 후 비가 내리던 5월 26일(양력 7월 10일) 하동 평사리(박경리 ‘토지’)와 두곡리를 거쳐 읍성에 도착, 하동현감 신진의 배려로 이틀간 별채에서 지냈다고 한다. 


남-서문 쪽 성내 연못.
남-서문 쪽 성내 연못.


성곽은 남문에서 서문쪽으로 이르는 성곽과 연못 한 곳 등이 복원되어 있으며 현재도 일부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1986년에는 임진왜란 때 사용했던 화약무기인 사전총통(四箭銃筒) 3점을 비롯해 다수의 무기류가 발견돼 현재 진주성 내 진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현재 하동군청에서 하동읍성 이곳까지는 도로로 약 15km, 남해고속도로 하동IC부터는 약 6.4km 거리이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