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스포츠 연예·문화

한국 추상미술 대표 화가, 최욱경 회고전

박지숙

입력 2021. 10. 27   17:02
업데이트 2021. 10. 27   17:17
0 댓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서 개최
연대기별 작품·자화상 등 소개
화가·시인·교육자…활동 전반 조명

 

평화, 1968.
평화, 1968.

국립현대미술관(MMCA·관장 윤범모)에서 한국 추상미술의 대표적인 여성화가 최욱경의 대규모 회고전 ‘최욱경, 앨리스의 고양이’가 열리고 있다. 27일부터 시작된 전시는 내년 2월 13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 계속된다.

‘최욱경, 앨리스의 고양이’는 최욱경(1940~1985)의 예술 세계 전반을 재조명하고, 미술 교육자이자 시인이기도 했던 작가의 전방위적인 활동 이력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자 마련된 회고전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작업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진 루이스 캐럴(Lewis Carrol·1832~1898)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에 대한 작가의 관심과 시집 등 미술이 문학과 연계되는 지점들에 주목해 그의 작업 전반을 새롭게 읽어보고자 했다.

최욱경은 1940년 서울에서 출생해 서울예고와 서울대 회화과를 졸업한 뒤 1963년에 도미(渡美)했고, 미국 유학 후 현지에서 화가이자 미술 교육자로서의 활동을 본격화했다.

1965년에는 『작은 돌들(Small Stones)』이라는 영문 시집을 출간, 문학에 대한 관심을 처음으로 드러냈다. 1970년대에는 한국과 미국을 오가면서 작품 창작과 강의를 병행했고, 『앨리스의 고양이』를 비롯한 시 45편을 수록한 국문 시집 『낯설은 얼굴들처럼』(1972)을 출간하기도 했다. 1979년부터 1985년 작고할 때까지는 영남대와 덕성여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의 산과 섬을 주제로 한 회화 작업 제작에 몰두했다.

또한 최욱경은 1980년대에 ‘상파울루 비엔날레’(1981), 뉴욕에서 ‘한국 현대 드로잉전’(1981), 교토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위상전’(1982), 파리의 ‘살롱 도톤’(1982) 등 해외에 한국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국제 전시에 다수 참여하면서 당대의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인정받았다. 작고 이후에도 국립현대미술관과 호암갤러리 등에서 작가를 추모하는 회고전(1987)이 개최된 바 있다.

파리 퐁피두 센터에서 지난 5월 개최된 ‘여성 추상미술가들(Women in Abstraction)’ 전시가 10월 22일부터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 순회 전시되고 있고, 모교인 미국 크랜브룩 미술 아카데미전시(With Eyes Opened: Cranbrook Academy of Art Since 1932)에도 출품되는 등 최근 해외에서도 시대를 앞섰던 추상표현주의 여성화가로 인정받고 있다.

전시는 크게 4개의 공간으로 나뉜다. ‘미국이라는 원더랜드를 향하여’, ‘한국과 미국, 꿈과 현실의 사이에서’, ‘한국의 산과 섬, 그림의 고향으로’ 3개의 주제 공간은 연대기별로, 마지막 ‘에필로그. 거울의 방: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은 작가의 작업 세계를 보다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자화상 작품 및 기록물을 소개하는 공간으로 구성됐다.

문의전화 02-2188-6000.

박지숙 기자/사진=국립현대미술관


박지숙 기자 < jspark2@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