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서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
한국 대통령 첫 해외서 행사 주관
“남.북.미 발굴협력 전쟁 상처 치유”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 시간) 미국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 19번 격납고에서 열린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에서 공군 1호기로 봉송되는 유해를 향해 경례하고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6·25전쟁 전사자 유해 인수식을 해외에서 직접 주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6·25전쟁의 영웅들, 국군 전사자 유해 68구가 고국으로 귀환했다.
22일 오후(현지 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의 히캄 공군기지 19격납고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관으로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이 열렸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6·25전쟁 전사자 유해 인수식을 해외에서 직접 주관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추모사를 통해 “유엔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뿌리로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과제를 함께 나눌 수 있을 만큼 성장했다”며 “이제 세계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해 당당하게 기여하는 대한민국이 됐다. 대한민국의 성장을 영웅들께 보고드릴 수 있게 돼 무한한 긍지와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참전용사들의 피와 헌신으로 맺어진 한미동맹은 자유와 평화 민주주의와 인권, 법치 등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의 가치를 공유하는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했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한 한미 양국의 노력 역시 흔들림 없이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아직 돌아오지 못한 영웅들이 있다. 정부는 비무장지대를 비롯해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용사들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며 “유해발굴을 위한 남·북·미의 인도적 협력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하와이 이민세대로서 최근 독립운동 공적이 확인된 고(故) 김노디 지사와 고 안정송 지사에게 훈장을 추서했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독립유공자 훈장 추서가 해외 현지에서 이뤄진 것도 처음이다.
▶ 관련 기사 3면
이날 고국의 품에 안긴 국군 전사자 유해 68구는 유엔총회 참석을 포함한 3박 5일간 순방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오른 문 대통령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다.
68구 유해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고 김석주·정환조 일병 유해는 대통령 전용기에, 신원 확인이 되지 않은 66구는 공군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 시그너스(KC-330)에 탑승했다. 시그너스에는 서욱 국방부 장관이 동승했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 “국가를 위해 희생한 호국영웅의 헌신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국가 무한책임’ 의지를 구현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고, 최고의 예우를 다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에 봉환하는 국군 유해 68구를 포함해 2012년 이후 현재까지 총 307구의 유해가 조국으로 돌아왔다. 이 가운데 16명의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미군 유해는 총 25구가 미국으로 돌아갔다. 이주형 기자
하와이서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
한국 대통령 첫 해외서 행사 주관
“남.북.미 발굴협력 전쟁 상처 치유”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 시간) 미국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 19번 격납고에서 열린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에서 공군 1호기로 봉송되는 유해를 향해 경례하고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6·25전쟁 전사자 유해 인수식을 해외에서 직접 주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6·25전쟁의 영웅들, 국군 전사자 유해 68구가 고국으로 귀환했다.
22일 오후(현지 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의 히캄 공군기지 19격납고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관으로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이 열렸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6·25전쟁 전사자 유해 인수식을 해외에서 직접 주관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추모사를 통해 “유엔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뿌리로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과제를 함께 나눌 수 있을 만큼 성장했다”며 “이제 세계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해 당당하게 기여하는 대한민국이 됐다. 대한민국의 성장을 영웅들께 보고드릴 수 있게 돼 무한한 긍지와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참전용사들의 피와 헌신으로 맺어진 한미동맹은 자유와 평화 민주주의와 인권, 법치 등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의 가치를 공유하는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했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한 한미 양국의 노력 역시 흔들림 없이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아직 돌아오지 못한 영웅들이 있다. 정부는 비무장지대를 비롯해 아직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용사들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며 “유해발굴을 위한 남·북·미의 인도적 협력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하와이 이민세대로서 최근 독립운동 공적이 확인된 고(故) 김노디 지사와 고 안정송 지사에게 훈장을 추서했다. 대한민국 대통령의 독립유공자 훈장 추서가 해외 현지에서 이뤄진 것도 처음이다.
▶ 관련 기사 3면
이날 고국의 품에 안긴 국군 전사자 유해 68구는 유엔총회 참석을 포함한 3박 5일간 순방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오른 문 대통령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다.
68구 유해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고 김석주·정환조 일병 유해는 대통령 전용기에, 신원 확인이 되지 않은 66구는 공군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 시그너스(KC-330)에 탑승했다. 시그너스에는 서욱 국방부 장관이 동승했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 “국가를 위해 희생한 호국영웅의 헌신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국가 무한책임’ 의지를 구현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고, 최고의 예우를 다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에 봉환하는 국군 유해 68구를 포함해 2012년 이후 현재까지 총 307구의 유해가 조국으로 돌아왔다. 이 가운데 16명의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 미군 유해는 총 25구가 미국으로 돌아갔다. 이주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