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국내

사이버 위협 늘어나는데…전담인력 부족

이주형

입력 2021. 05. 10   17:05
업데이트 2021. 05. 10   17:09
0 댓글
국정원, 국가정보보호백서 발간
2025년까지 인력 1만 명 필요
 
정보보호 전담 부서를 갖추지 않은 국내 정부·공공기관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전담 부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공감했다.

10일 국가정보원이 펴낸 『2021 국가정보보호백서』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정부·공공기관 127곳 중 정보보호 전담 조직을 운영하는 기관은 46%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전담 조직의 필요성에 대해선 77%가 ‘필수적이며 반드시 필요’, 21%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보보호 전담 조직이 없는 이유로는 ‘예산·인력 부족’이라는 응답이 76%로 가장 높았다.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91%에 달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관장 인식 부족’을 꼽은 응답이 30%로 비교적 높았다. 응답 기관 중 작년 사이버 공격 피해가 있었다고 응답한 곳은 6.3%였다.

국정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금융위원회 등과 함께 발간하는 이 백서는 현재 정부와 국가 기반시설 등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 시도와 성공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올해 다양한 돈벌이 목적의 사이버 범죄가 끊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정보보호 인력은 2020~2025년 약 1만 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다.

백서는 “복잡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첨단 보안기술 확보와 기술혁신이 포함된 연구개발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주형 기자


이주형 기자 < jataka@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