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바이든 행정부하고 우리 한국 정부는 여러모로 가치 지향이나 정책 기조에서 유사한 점들이 있고, 이른바 코드가 같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며 “한미 관계에 있어서 더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 시기에 전화통화를 했고,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에 한미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의사 일치를 이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가능하면 한미 정상 간 교류를 보다 조기에 성사시켜서 정상 간 신뢰나 유대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반도 문제,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싶다. 나아가 한미 간에 협력할 현안에 대한 협력도 확대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 문제와 관련, “바이든 정부는 톱다운보다는 바텀업 방식의 협상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싱가포르 선언에서 합의된 원칙을 구체화시키는 그런 방안에 대해 북·미 간에 좀 더 속도감 있고 긴밀하게 대화를 해 나간다면 충분히 해법을 찾을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언제 될지 모르는 그 성공을 막연히 바라보면서 그냥 기다릴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북한의 무기체계가 증강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한미 정보 당국이 늘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그에 대해서 한국은 충분히 방어할 수 있는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끊임없이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정상회담이 남북관계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그냥 만나는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성과를 낼 수 있다면 언제든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주형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바이든 행정부하고 우리 한국 정부는 여러모로 가치 지향이나 정책 기조에서 유사한 점들이 있고, 이른바 코드가 같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며 “한미 관계에 있어서 더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 시기에 전화통화를 했고,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에 한미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의사 일치를 이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가능하면 한미 정상 간 교류를 보다 조기에 성사시켜서 정상 간 신뢰나 유대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반도 문제,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싶다. 나아가 한미 간에 협력할 현안에 대한 협력도 확대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한 문제와 관련, “바이든 정부는 톱다운보다는 바텀업 방식의 협상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싱가포르 선언에서 합의된 원칙을 구체화시키는 그런 방안에 대해 북·미 간에 좀 더 속도감 있고 긴밀하게 대화를 해 나간다면 충분히 해법을 찾을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언제 될지 모르는 그 성공을 막연히 바라보면서 그냥 기다릴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북한의 무기체계가 증강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한미 정보 당국이 늘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그에 대해서 한국은 충분히 방어할 수 있는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끊임없이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정상회담이 남북관계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그냥 만나는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성과를 낼 수 있다면 언제든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주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