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한국국방연구원

동시조달 수리부속 소요판단에 대해

입력 2020. 08. 11   09:13
업데이트 2020. 08. 11   09:21
0 댓글

국방논단 1813호(한국국방연구원 발행)



김재동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자원연구센터 
soobahkin@kida.re.kr

홍록지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자원연구센터
hongrj@kida.re.kr

박홍석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자원연구센터
avipak@kida.re.kr


동시조달수리부속이란 새로운 장비를 획득할 때 함께 구매해 놓는 구성품이나 부품을 말한다. 보통 3년간의 장비운영에 필요한 물량이다. 획득단계의 일이지만, 운영유지 성격이라서 관심이 덜한 분야다. 소요 판단의 정확성에 의문이 들고, 가용도나 예산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동시조달수리부속의 소요판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개선해야 할 점을 제시했다.


동시조달수리부속(CSP: Concurrent Spare Parts, 이하 CSP)은 신규 장비의 도입 후 초기 3년간의 장비운영에 필요한 수리부속을 말한다. 새로 제작한 장비라고 하더라도 여러 이유로 인해 수리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장비와 함께 부속품을 확보해 놓는 것이다. 수리부속은 장비를 생산할 때 어차피 만들어야하는 것이므로 동시조달이 비용에서 유리한 측면도 있다.

운영유지를 위해 수리부속 보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까지는 일정 기간이 필요하다. 공급 업체가 양산체제를 수리부속 생산체제로 바꿔야하기 때문이다. 그간의 실적이나 외국의 사례를 볼 때 3년 정도를 적당하다고 본 것이지만, 장비에 따라 조금씩 가감하기도 한다. 수리부속은 종합군수지원(ILS: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이하 ILS) 중 보급지원에 해당한다. CSP는 도입 장비를 운용하는 제대별로 보관하여 정비할 때 활용하고, 3년이 지나면 운영자산으로 전환한다. 전환 시점에는 사용실적을 검토해서, 장비의 운영에 필요한 인가저장품목(ASL: Authorized Storage List), 규정 휴대량(PL: Prescribed Load), 해군의 함정 적재 정수표 등을 결정할 때 참고하기도 한다.

소요는 개발업체, 방위사업청, 각 군의 검토를 거쳐 산정한다. 장비와 함께 조달하면 비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고 했지만, 너무 많으면 사용하지 못한 채 재고로 쌓인다. 그렇다고 너무 적게 조달하면 장비 운영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적절하게 판단해야 하는데 그리 쉬운 문제가 아니다. 동시조달 수리부속의 소요판단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선할 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미국의 사례도 참고했다.

소요판단 절차

CSP 소요는 몇 번의 정해진 절차를 거쳐 확정된다. 첫 번째는 개발업체가 CSP 산정 모델에 입력할 초기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초도 양산의 경우 유사 품목 제원을 제공하는데, 이는 대상 장비 운용 실적이 아직 없기 때문이다. 후속 양산일 경우는 실적이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게 된다. 두 번째는 모델을 활용하여 산출결과를 도출하는 것인데, 방위사업청에서 담당한다. 운영유지로 넘어오기 전인 획득단계의 업무이기 때문이다. 주로 사용하는 모델은 OASIS(Optimal Allocation of Spares for Initial Support, 이하 OASIS)이다. OASIS는 목표 운용 가용도를 만족하는 동시조달 수리부속 소요를 판단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 모델이다. 소요량 산출을 위해 다단계 정비/보급체계, 보급정책, 장비배치 시점의 정비능력, 계획 정비/시한성 품목 소요 자료 등을 입력하며, 다단계 재고관리 모형(Vari-Metric)을 활용하여 총 소요량을 산출하게 되어있다. 세번째 절차는 소요 군이 모델의 산출결과를 받아 전력화 장비 수량과 정비지원 구조를 고려하여 조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군수사가 OASIS 산출결과와 유사 장비 정비 실적 등을 고려하여 조정소요에 대한 의견을 각 군 본부에 제시한다. 각 군 본부는 이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방위사업청에 통보한다. 마지막으로 종합군수지원 실무조정회의에서 CSP를 최종 확정한다.

CSP 소요를 확정하는 것은 전력화 시점 1년 전(X-1년)이다. 장비 배치시점에 맞춰 보급하기 위해서다. 배치 다음해(X+1년)에는 장비 도입 첫해의 사용 실적을 분석하여 운영유지 기간에 필요한 수리부속 예산을 판단해서 요구한다. 그렇게 해서 X+2년부터는 운영유지단계에 필요한 수리부속을 조달하는 것이다. 그때까지 사용해 온 CSP는 이후의 운영유지를 위한 자산으로 전환 된다. <그림 1>은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보유하고 있는 자료들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데, 그렇게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자료가 축적 관리되지 않아서다. 우선은 획득과 운용 데이터 연동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현재 각 군이 수리부속의 자산관리와 고장 이력 유지를 위해 운용하는 DELIIS와 방위사업청에서 사용하는 군수지원분석용 표준 소프트웨어인 SOLOMON(SOftware for LOgistics support analysis and data Management Of Next generation) 체계만 연동해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매년 국방 기술품질원에서 발간되는 야전운용제원 등의 자료도 포함해서다. 여기에 품목별 고장간 평균시 간(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 고장률, 폐기율 및 정비특성(복구성, 소모성 여부)의 정보가 결합되어야 정밀한 소요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수리부속 치명도 또는 중요도, 고장 유형 및 영향, 핵심품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두 번째, CSP 소요 전체를 한번에 판단하지 말고 연차별로 분할해서 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CSP 운용기간 중 실제 운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량을 재산정하는 것을 말한다. 미군의 사례를 보면 X-1년에 소요를 산정하고 장비를 1년간 운용한 후 재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운용기간에 발생하는 실적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현실에 가깝게 보정하면서 최적소요를 산출하기 위해서다. 첫해에는 모델에 의해 산출된 예측 결과를 100% 활용하고, 1년 이상 시점에서는 실제 발생 수요데이터를 25% 반영해서 판단하는 식인데, 필요하면 그로부터 1년 후 다시 산정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세 번째, CSP 소요산정 시 품목 선정 기준이 근원정비 복구성부호(SMR Code: Source Maintenance Recoverability) ‘P’계열 품목으로 되어 있는데 일반분해목록(GBL: General Breakdown List, 이하 GBL 표기) 수준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장비 고장은 ‘P’계열 품목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며, 창정비, 부대정비, 직접지원, 일반지원 정비계단에서 사용되는 K, M, A 계열의 품목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소요 산정의 대상품목을 ‘P’계열로 한정할 경우 CSP 운용기간 중의 고장에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네 번째, CSP 수요와 재고 예측을 위한 측정 지표를 더 정교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는 적중률 개념의 정확도 지표만을 측정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만으로는 도입 단계에서 수요와 재고예측에 동시에 활용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적절한 측정 지표를 다양하게 활용해야 하는데, 미군이 하고 있는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수요예측 정확도에 절대 백분율 오차(Absolute Percent Error), 평균 백분율 오차(MPE: Mean Percentage Error)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고 있고, 분석모델도 군별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운용하고 있어서다. 군별로 국방군수정보시스템(DLIS: Defenc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과 기술교범을 기반으로 CSP 대상품목을 검토한 후, 육군은 미 육군 재고관리 모델(SESAME: Selected Essential-Item Stock for Availability Method),18) 해군은 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활용한 최적화 모형(ARROW: Aviation Retail Requirements Oriented to Weapon Replaceable Assemblies), 공군은 다단계 재고모형(SIRS: Secondary Item Requirement System, ASM: Aircraft Sustainability Model 등을 활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획득단계에서 품목 목록 구조의 일치화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획득 단계상의 CSP 입력 정보와 운용상의 품목 정보 관리항목이 상이하여 운용실적 자료가 온전하게 관리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림 4>를 보면 CSP 항목 정보에는 운영유지단계에서 필요한 정보 목록 중 상당수 누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품제원, 포장제원, 조달원 등의 항목 정보가 부족한 것이다. 장비정비정보체계(DELIIS: Defense Logistics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에 입력하려면 품목 목록화가 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그런 사정으로 일부만을 임시재고번호로 등재하여 관리하고 있다. 반면 미군은 도입 당시에 전체 수리부속품의 임시재고번호를 먼저 부여하여 운용하고 있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수리 부속 품목이 등재되지 않으면 등재 전에 발생한 소모내역이나 정비내역 등의 정보를 전산화할 수 없으므로 운용유지단계에서 많은 자료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후속 CSP 소요산정 및 운용자산 전환 시 수요예측에도 애로를 발생시킨다. 획득 장비의 CSP 품목 등록 관련 규정에 장비 전력화와 동시에 전체 품목 목록화가 가능하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CSP 소요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장비 가동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예산 효율화를 제고시키는 일이다. 세밀한 부분에 조금 더 신경 쓰고 관리해야 한다. 판단 결과가 실제와 다를 수 있지만, 과정이 치밀하면 다음에는 훨씬 좋아질 것이다. 큰 발전은 작은 개선이 모여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본지에 실린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의견이며, 본 연구원의 공식적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국방일보>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