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양양급 기뢰탐색 ‘소해함’ 전력화… 현재 2차 사업 진행 중
선체 자성 없고 내구성 강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 철 소재 최소화
美 해군, 유·무인 체계 복합 운용… 한국도 무인전력 확보 등 실행 준비
우리나라는 전체 수출입 물동량 중 99%를 해상으로 운송하는, 해상교통로가 ‘경제 생명선’인 국가다. 이로 인해 전쟁이 발발하면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는 해상교통로를 최우선으로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한 첫걸음이자 핵심은 적이 바다에 부설한 기뢰(機雷·육상의 지뢰와 같음)를 찾아 제거하는 소해(掃海) 작전이다. 기뢰를 찾는 함정이 탐색함, 제거하는 함정이 소해함이다. 우리나라는 국방예산의 제약으로 척수가 많지 않아 한 척 한 척이 매우 귀중하다는 의미에서 해군 전력의 ‘흑진주’로 불린다. 흑나비 조개에서 채취하는 흑진주는 일곱 가지 색이 빛나는 아름다운 검은색을 띠고 있다.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진주 중에서 가장 희소성이 커 종종 해군 소해전력에 비유된다.
‘바다의 지뢰’ 기뢰, 수상함·잠수함에 치명타
바다의 지뢰로 불리는 기뢰는 기계수뢰(機械水雷)의 줄임말이다. 진동·수압·자기장·음향 등에 의해 폭발하며, 단 한 발만으로도 수상함과 잠수함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기뢰는 14세기 명나라가 방수용 보자기와 상자에 화약을 담아 운용한 게 최초다. 서양에서는 1564년 처음 등장했다. 미국 독립전쟁, 미국 남북전쟁, 오스만·러시아전쟁, 미국·스페인전쟁, 러·일전쟁 등 수많은 전쟁에서 위력을 알렸다. 제1·2차 세계대전, 6·25전쟁, 베트남전쟁, 걸프전 등을 거치며 발전을 거듭했다.
6·25전쟁에서 유엔군도 기뢰 피해를 많이 입었다. 북한군이 열세인 해군 전력을 만회하기 위해 기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북한군은 주요 항만에 계류기뢰를 부설했으며, 부류기뢰를 깔아 조류를 타고 자유롭게 떠다닐 수 있도록 했다.
유엔군의 원산상륙작전에서는 주력군을 일주일 가까이 바다에 묶어놓기도 했다. 북한군은 원산 근해에 3000여 발의 기뢰를 부설했다. 유엔군은 대대적으로 기뢰대항작전을 펼쳤지만, 우리 해군을 포함한 수많은 함정이 기뢰 접촉으로 침몰했다.
기뢰전은 1970년대 이후 급속히 변화·발전했다. 당시 우리 해군은 미국에서 들여온 소해정의 노후화 등으로 새로운 형태의 함정이 필요했다. 방위사업청(방사청)과 해군은 점증하는 기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980년대 초반부터 소해함 생산 계획을 논의했다. 그 결과 첫 열매로 강경급 기뢰탐색함(MHC·Mine Hunting Coastal)을 수확했다.
이어 1995년 소해함 1차 사업 설계를 완료한 뒤 2000년대 초반까지 양양급 기뢰탐색소해함(MSH·Mine Sweeping & Hunting)을 전력화했다. 방사청 특수함사업부 소해함사업팀은 현재 소해함 2차 사업을 진행 중이다. 강경급 기뢰탐색함 6척과 양양급 기뢰탐색소해함 3척은 ‘우리의 항적이 다른 함정의 항로’라는 각오 아래 지금 이 순간에도 해군 유일의 기뢰대항 전력으로 동·서·남해를 누비고 있다.
비자성체 재질로 함정 건조
기뢰탐색함과 기뢰탐색소해함은 자성(磁性·자기를 띤 물체가 나타내는 여러 가지 성질)에 반응하는 기뢰 보호책의 하나로 선체를 비(非)자성체 재질로 건조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이 그것. FRP는 자성을 띠지 않으며, 부식이 없고, 내구성이 강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뢰탐색함은 선체뿐만 아니라 함정 내부의 자성체를 엄격히 통제하기 위해 철로 만든 장비를 최소화했다. 심지어 함정과 부두를 연결한 현문(舷門)에 자성 측정기를 비치해 철제 물품의 반입을 철저히 제한한다. 개인 물품도 예외는 아니다. 조리용 통조림 캔도 반입할 때 개수를 정확히 기록한 후 재활용 쓰레기 반출 때 다시 수량을 확인한다.
또 얕은 수심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선체가 물에 잠기는 흘수(吃水)를 얕게 했으며, 보이스 슈나이더 프로펠러(VSP·Voith-Schneider Propeller)를 장착했다. 이 추진기는 개별 날개가 선저(船底·배의 밑바닥) 원판에 수직으로 설치됐다. 날개 각도를 조절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전후 이동과 좌우 선회도 할 수 있다. 함정의 속도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협소한 지역에서 저속으로 미세하게 움직여야 하는 소해함에 안성맞춤이다.
함정의 위치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장치도 탑재했다. 이 장치는 추진기와 위성항법 장비, 전술자료 처리장치, 풍향풍속계, 대지속력계, 자이로를 연동해 바람·파도·조류에 따른 함정의 위치 변화 요인을 상쇄해 준다. 원격으로 기뢰를 탐색·식별·처리할 수 있는 무인기뢰처리기(MDV·Mine Disposal Vehicle)를 구비해 소해 능력을 높인 것도 장점이다.
유·무인체계 복합 운용 등 ‘입체 전력’ 확보
미국·영국·일본 등 선진국은 해상에 설치된 기뢰를 탐색·제거하고, 주요 항만과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유·무인체계를 복합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미 해군은 소해작전 때 탐색·식별 단계에서는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해헬기와 무인체계를 현장에 투입한다. 이후 식별·소해 단계에서는 기뢰 처리가 가능한 무인체계와 소해함을 투입해 기뢰대항작전을 마무리한다.
반면 우리는 전력 대부분이 소해함이다. 넓은 해역에 부설된 기뢰를 신속·정밀하게 탐색·소해하기 위해서는 유인전력(소해헬기·소해함)과 무인전력(무인수상정·수중자율기뢰탐색체·무인기뢰처리기)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우리 해군의 소해전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전력 운용 현황과 발전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입체 전력’을 구축해야 한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의 의견이다.
이에 방사청과 해군은 미래 소해전력 발전방향을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유·무인체계 구축, 데이터 처리능력 강화, 초고속 통신망을 활용한 소해전력 간 실시간 정보공유 등으로 수립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현시점에서 미래 소해전력의 청사진을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일부 의견도 있지만, 많은 국방예산과 시간이 소요되는 소해전력을 확보하려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준비해야 한다”며 “기뢰대항작전 능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입체 소해전력 구축을 현실화하기 위해 전력투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00년대 양양급 기뢰탐색 ‘소해함’ 전력화… 현재 2차 사업 진행 중
선체 자성 없고 내구성 강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 철 소재 최소화
美 해군, 유·무인 체계 복합 운용… 한국도 무인전력 확보 등 실행 준비
우리나라는 전체 수출입 물동량 중 99%를 해상으로 운송하는, 해상교통로가 ‘경제 생명선’인 국가다. 이로 인해 전쟁이 발발하면 안전하게 드나들 수 있는 해상교통로를 최우선으로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한 첫걸음이자 핵심은 적이 바다에 부설한 기뢰(機雷·육상의 지뢰와 같음)를 찾아 제거하는 소해(掃海) 작전이다. 기뢰를 찾는 함정이 탐색함, 제거하는 함정이 소해함이다. 우리나라는 국방예산의 제약으로 척수가 많지 않아 한 척 한 척이 매우 귀중하다는 의미에서 해군 전력의 ‘흑진주’로 불린다. 흑나비 조개에서 채취하는 흑진주는 일곱 가지 색이 빛나는 아름다운 검은색을 띠고 있다.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진주 중에서 가장 희소성이 커 종종 해군 소해전력에 비유된다.
‘바다의 지뢰’ 기뢰, 수상함·잠수함에 치명타
바다의 지뢰로 불리는 기뢰는 기계수뢰(機械水雷)의 줄임말이다. 진동·수압·자기장·음향 등에 의해 폭발하며, 단 한 발만으로도 수상함과 잠수함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기뢰는 14세기 명나라가 방수용 보자기와 상자에 화약을 담아 운용한 게 최초다. 서양에서는 1564년 처음 등장했다. 미국 독립전쟁, 미국 남북전쟁, 오스만·러시아전쟁, 미국·스페인전쟁, 러·일전쟁 등 수많은 전쟁에서 위력을 알렸다. 제1·2차 세계대전, 6·25전쟁, 베트남전쟁, 걸프전 등을 거치며 발전을 거듭했다.
6·25전쟁에서 유엔군도 기뢰 피해를 많이 입었다. 북한군이 열세인 해군 전력을 만회하기 위해 기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북한군은 주요 항만에 계류기뢰를 부설했으며, 부류기뢰를 깔아 조류를 타고 자유롭게 떠다닐 수 있도록 했다.
유엔군의 원산상륙작전에서는 주력군을 일주일 가까이 바다에 묶어놓기도 했다. 북한군은 원산 근해에 3000여 발의 기뢰를 부설했다. 유엔군은 대대적으로 기뢰대항작전을 펼쳤지만, 우리 해군을 포함한 수많은 함정이 기뢰 접촉으로 침몰했다.
기뢰전은 1970년대 이후 급속히 변화·발전했다. 당시 우리 해군은 미국에서 들여온 소해정의 노후화 등으로 새로운 형태의 함정이 필요했다. 방위사업청(방사청)과 해군은 점증하는 기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980년대 초반부터 소해함 생산 계획을 논의했다. 그 결과 첫 열매로 강경급 기뢰탐색함(MHC·Mine Hunting Coastal)을 수확했다.
이어 1995년 소해함 1차 사업 설계를 완료한 뒤 2000년대 초반까지 양양급 기뢰탐색소해함(MSH·Mine Sweeping & Hunting)을 전력화했다. 방사청 특수함사업부 소해함사업팀은 현재 소해함 2차 사업을 진행 중이다. 강경급 기뢰탐색함 6척과 양양급 기뢰탐색소해함 3척은 ‘우리의 항적이 다른 함정의 항로’라는 각오 아래 지금 이 순간에도 해군 유일의 기뢰대항 전력으로 동·서·남해를 누비고 있다.
비자성체 재질로 함정 건조
기뢰탐색함과 기뢰탐색소해함은 자성(磁性·자기를 띤 물체가 나타내는 여러 가지 성질)에 반응하는 기뢰 보호책의 하나로 선체를 비(非)자성체 재질로 건조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이 그것. FRP는 자성을 띠지 않으며, 부식이 없고, 내구성이 강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뢰탐색함은 선체뿐만 아니라 함정 내부의 자성체를 엄격히 통제하기 위해 철로 만든 장비를 최소화했다. 심지어 함정과 부두를 연결한 현문(舷門)에 자성 측정기를 비치해 철제 물품의 반입을 철저히 제한한다. 개인 물품도 예외는 아니다. 조리용 통조림 캔도 반입할 때 개수를 정확히 기록한 후 재활용 쓰레기 반출 때 다시 수량을 확인한다.
또 얕은 수심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선체가 물에 잠기는 흘수(吃水)를 얕게 했으며, 보이스 슈나이더 프로펠러(VSP·Voith-Schneider Propeller)를 장착했다. 이 추진기는 개별 날개가 선저(船底·배의 밑바닥) 원판에 수직으로 설치됐다. 날개 각도를 조절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전후 이동과 좌우 선회도 할 수 있다. 함정의 속도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협소한 지역에서 저속으로 미세하게 움직여야 하는 소해함에 안성맞춤이다.
함정의 위치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장치도 탑재했다. 이 장치는 추진기와 위성항법 장비, 전술자료 처리장치, 풍향풍속계, 대지속력계, 자이로를 연동해 바람·파도·조류에 따른 함정의 위치 변화 요인을 상쇄해 준다. 원격으로 기뢰를 탐색·식별·처리할 수 있는 무인기뢰처리기(MDV·Mine Disposal Vehicle)를 구비해 소해 능력을 높인 것도 장점이다.
유·무인체계 복합 운용 등 ‘입체 전력’ 확보
미국·영국·일본 등 선진국은 해상에 설치된 기뢰를 탐색·제거하고, 주요 항만과 해상교통로를 보호하기 위해 유·무인체계를 복합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미 해군은 소해작전 때 탐색·식별 단계에서는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해헬기와 무인체계를 현장에 투입한다. 이후 식별·소해 단계에서는 기뢰 처리가 가능한 무인체계와 소해함을 투입해 기뢰대항작전을 마무리한다.
반면 우리는 전력 대부분이 소해함이다. 넓은 해역에 부설된 기뢰를 신속·정밀하게 탐색·소해하기 위해서는 유인전력(소해헬기·소해함)과 무인전력(무인수상정·수중자율기뢰탐색체·무인기뢰처리기)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우리 해군의 소해전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전력 운용 현황과 발전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입체 전력’을 구축해야 한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의 의견이다.
이에 방사청과 해군은 미래 소해전력 발전방향을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유·무인체계 구축, 데이터 처리능력 강화, 초고속 통신망을 활용한 소해전력 간 실시간 정보공유 등으로 수립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현시점에서 미래 소해전력의 청사진을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일부 의견도 있지만, 많은 국방예산과 시간이 소요되는 소해전력을 확보하려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준비해야 한다”며 “기뢰대항작전 능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입체 소해전력 구축을 현실화하기 위해 전력투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