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수학으로 세상을 읽는다
롭 이스터웨이 지음
고유경 옮김/반니 펴냄
구글 면접에 나온 난처한 질문들… 패턴과 연관성 보는 능력 판단
10만 명에게 수학 재미 알린 저자 “논리력, 제대로 된 세상 보여줘”
“스쿨버스에 골프공을 몇 개 넣을 수 있을까요?” 구글을 만든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구글 면접자에게 던졌던 유명한 질문이다.
구글의 인사책임자는 난처한 질문으로 지원자들을 일부러 당황하게 하려는 게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고 해결해 나가는지 보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구글러의 가장 중요한 자질을 이처럼 주어진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짧은 시간에 골프공 사이즈로 스쿨버스 공간을 계산하는 힘은 어떤 능력을 증명하는 걸까? 저자 롭 이스터웨이는 이렇게 말한다. 간단한 산술을 재빠르게 파악하고 적용하는 능력은 참과 거짓을 구별하는 논리적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이는 패턴과 연관성을 보는 능력을 입증한다고 말이다. 아마 구글도 이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이런 질문을 했을 것이다.
책은 이러한 논리와 패턴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는 영국에서 수학 대중화를 주도하는 수학자이자 작가로, 특히 청소년이나 수학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해 교육하고 있다. 지난 2004년부터 청소년들이 수학 과목에 흥미를 갖도록 기획된 연극 형식의 수학 강의 프로그램 ‘매스 인스피레이션(Maths Inspiration)’을 연출했고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을 비롯해 14개의 극장과 콘서트홀에서 열린 이 강의는 지금까지 10만 명이 넘는 청소년들에게 수학의 재미를 일깨워줬다. 책은 이러한 활동의 연장선에서 집필됐다.
책은 먼저, 우리가 왜 계산기에만 의존하지 않고 수학 능력을 키워야 하는지 입증한다. 우리는 숫자를 신뢰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 일상에서 만나는 숫자에는 수많은 오류와 함정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사칙연산과 논리력을 활용해 숫자에 숨은 문제들을 파악해야 제대로 된 세상을 볼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때 필요한 어림 계산법을 알려주고 이 계산법으로 장바구니 계산부터 환전이나 대출, 거리 계산까지 세상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구체적으로 전해준다. 아울러 어림 계산의 대가였던 엔리코 페르미의 이른바 ‘페르미 문제(충분한 정보 없이 답을 내야 하는 문제)’를 활용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군중은 몇 명일까?’ ‘로또에 두 번 당첨될 확률은 얼마일까?’ ‘집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건 무엇일까?’ ‘지금 하늘에는 얼마나 많은 비행기가 있을까’ 등의 질문들을 풀어보면서 수학에 흥미를 붙일 수 있게 돕는다.
최승희 기자 lovelyhere@dema.mil.kr
최승희 기자
< lovelyhere@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