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국내

“소재·부품산업 강화해야 경제강국”

이주형

입력 2019. 09. 10   17:21
업데이트 2019. 09. 10   17:31
0 댓글

문재인 대통령, KIST서 국무회의 주재… 기업 상황 점검 및 격려도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는 경제 강국을 위한 국가전략 과제이며, 한·일관계 차원을 뛰어넘어 한국 경제 100년의 기틀을 세우는 일”이라며 “이 분야 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제조업을 혁신하고 제조 강국으로 재도약하는 길이며,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진행한 현장 국무회의에서 이같이 밝히고 “특히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기술의 자립화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소재·부품·장비 생산 기업은 전체 제조업 생산과 고용의 절반을 차지하고 대부분 중소·중견기업”이라며 “이 산업을 키우는 것은 곧 중소·중견기업을 키우는 것이고 대·중소기업 협력 산업생태계를 만드는 것이자 장기간 누적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만드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두 달여 동안 이 분야 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명실상부한 국가전략 과제로서 추진동력을 확보했다”며 “정부는 모든 가용자원을 동원해 기술력을 강화하고 공급 안정성을 확보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금융·입지·규제·특례를 패키지로 지원해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하고 공급 기업의 기술 개발과 주요 기업의 적용을 연결하는 실증 양산 테스트 베드를 확충하겠다”며 “성장 잠재력을 가진 강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해 글로벌 수준의 부품·소재·장비 전문 기업으로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 뒤에는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 있는 ‘소재·부품 수급대응 지원센터’(지원센터)를 방문, 핵심 소재·부품 수급 동향과 기업의 애로 해결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지원센터는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에 따른 국내 기업의 소재·부품 수급 애로를 원스톱으로 해결하기 위한 민·관 합동 조직이다. 총 32개 기관에서 39명의 직원이 파견돼 근무 중이며 특정 국가 의존도, 수급차질 시 파급효과, 잠재 애로 제기기업 등을 중심으로 500여 개 중점관리 기업을 선정해 일대일 밀착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이주형 기자

이주형 기자 < jataka@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