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관리-사업관리 본부 통폐합 기반전력사업-미래전력사업본부로
효율성·사업추진 속도 향상 기대
방위사업청(방사청)이 개청 13년 만에 대대적인 조직 개편에 나선다.
방사청은 4일 기존 계약관리본부와 사업관리본부를 통폐합해 기반전력사업본부와 미래전력사업본부로 재편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방위사업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개정령(안)에 따르면 방사청은 계약과 사업이라는 핵심 임무에 따라 분리된 조직을 통합해 무기체계 분야와 특성에 따른 체제로 재편할 계획이다. 먼저 계약관리본부를 폐지하고 계약 기능을 사업관리본부로 이관하는 한편 사업관리본부는 기반전력사업본부와 미래전력사업본부로 개편된다.
같은 날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과 한국방위산업진흥회가 주관한 조찬 강연에서 강연자로 나선 왕정홍 방사청장은 이번 개편안을 공개하면서 “계약관리본부가 사업관리본부의 각 과로 들어가 계약과 사업을 같이 진행하는 체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직 개편에 따라 계약과 사업 업무가 한 조직에서 이뤄지면 효율성이 높아지고, 사업추진 속도가 좀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왕 청장 역시 이번 조직 개편을 “화학적 통합”이라고 표현했다.
개편 뒤 기반전력사업본부는 기동·화력·함정·항공기·헬기 등의 사업을, 미래전력사업본부는 유도무기와 감시전자·무인기 등의 사업을 각각 맡을 예정이다.
방사청의 또 다른 축인 청 본부는 예산, 획득제도, 방산육성 정책 수립이라는 기존 업무를 계속한다.
이외에도 사업·계약 통합에 따른 투명성 강화를 위해 방위사업감독관이 감독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송무·법제총괄 기능을 기획조정관으로 이관하고 조달계획, 계약·원가제도, 대외군사판매(FMS) 등 양 소속기관을 조정·관리하는 기능은 각각 방위사업정책국과 국제협력관으로 이관할 계획이다. 조직 개편으로 절감한 인력은 각 사업본부로 재배치하는 등 현행 제도에서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할 방침이다.
방사청은 5일 차관회의와 10일 국무회의를 거쳐 개편안을 시행할 계획이다. 왕 청장은 “이번 개편은 단순한 통합이 아니다”라며 “개편을 통해 방사청이 새롭게 태어나는 모습을 보이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맹수열 기자 guns13@dema.mil.kr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