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용어로 다시 읽는 미술사

색채의 혼합, 팔레트 대신 눈에서 완성되다

입력 2019. 07. 17   17:04
업데이트 2019. 07. 17   17:08
0 댓글

25 점묘파 - 분할주의, 사회과학, 가현운동, 대비, 광휘성


과학적 색채이론에 화가들 주목
순수한 빛 그리고자 삼원색 활용
무수히 많은 원색의 점 찍어 표현
색조 대비 통한 새로운 기법 완성
피사로·쇠라·시냐크 등이 활약   

쇠라의 ‘그랑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쇠라의 ‘그랑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인상주의 시대는 근대로 접어든 유럽의 변화가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산업혁명과 시민계급의 대두 등 많은 사회적 변화와 함께 2차 산업혁명의 결과 강철 제련 기술과 전기가 일상화되면서 과학은 근대 사회를 지탱하는 큰 힘이 됐다.



과학은 도시 인구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생활 수준을 끌어올려 주는 기회를 만들었고 새로운 소비자들은 산업의 팽창과 통합을 유도했으며 기업은 능률을 추구했다. 이렇게 모든 분야가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발전을 거듭하면서 마르크스의 자본론이나 레닌의 혁명이론조차 사회과학이라고 받아들여졌다 과학 분야에서는 파스퇴르와 로베르트 코흐의 박테리아, 퀴리 부인의 라듐, 뢴트겐의 X선 발견, 다윈의 진화론, 파블로프의 조건반사가 등장했다. 철학에서는 헤겔과 니체, 프로이트, 쇼펜하우어가 새로운 관점으로 인간과 역사를 설명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이 모든 분야가 광의의 의미에서 과학으로 인식되던 시기다. 



화가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 ‘과학’

화가들에게도 과학은 매력적이었다. 어떤 화가들은 과학적으로 그려야 한다는 생각도 가졌다. 특히 인상주의자들을 고무시켰던 슈브럴의 색채이론은 많은 화가들에게 새로운 과학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해줬다.

카메라는 화가들이 대상의 움직임과 몸짓을 연구하고 관찰해서 주위 환경이나 세부 그리고 보는 방향에 따라 사물과 대상이 다르게 보인다는 것을 완벽하게 이해하도록 도왔다. 특히 에드워드 머이브리지(Eadweard Muybridge,1830~1904)는 1877~1878년에 정지된 사진에서 동작을 포착하기 위해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한 뒤 사진을 촬영, 순차적인 움직임을 포착해 동작의 비밀을 밝혀냈다.

이렇게 순간순간의 움직임을 연달아 보여주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가현운동(Apparent Movement)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그간의 말이 달리는 장면은 틀렸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렇게 사진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게 해 주며 많은 도움을 줬다. 또 중심에서 벗어난 흐려진 초점, 단축된 시점 등 화면의 심도에 대한 이해도 가능해졌다. 사진은 또 역사나 상상의 세계가 아닌 현실을 담아 신화와 고전이라는 도그마로부터 화가들을 해방시켰다.

모네는 카메라의 느린 셔터 속도가 형태를 흐리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런 효과를 위해 자신의 그림 속 형태의 경계선을 흐릿하게 칠했다. 피사로는 같은 효과를 위해 거리 풍경을 그릴 때 빠른 필치로 작은 터치를 반복해 형태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그의 이런 기법을 두고 한 비평가는 “혀로 핥은 것 같다”고 했다.

폴 시냐크의 ‘아비뇽의 교황청’.
폴 시냐크의 ‘아비뇽의 교황청’.


색채론 등장으로 분할주의 탄생

새롭게 등장한 색채론은 분할주의(Divisionnisme)를 낳았다. 두 개의 색이 가까이 있으면 서로의 영향으로 각각의 색이 다르게 보이는 대비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동시대비, 다른 두 색이 함께 있을 때 더욱 선명하게 보이는 현상을 보색대비라 했다. 한편으로 팔레트에서 색을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작고 균일한 크기의 원색 점을 화면에 직접 찍으면 이 색들이 사람의 눈과 망막을 통해 혼색이 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를 ‘분할주의’라고 했는데 이는 형태를 선으로 포착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의 순도는 높이면서도 색조의 대비(contrast)를 통해 인상주의의 또 다른 새로운 기법을 완성했다. 이것이 ‘점묘파’다.

순수한 빛을 표현하고자 했던 인상주의 화가들은 화면을 원색의 미세한 점으로 나누고 그 점을 순수한 원색으로 칠했다. 특히 쇠라(Georges Seurat·1859~91)는 직관적인 인상주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과학적으로 뒷받침할 이론으로서 분할주의를 세우고 이를 체계화시켰다. 그의 대표작 ‘그랑 자트섬의 일요일 오후’(1884~1886)는 2년에 걸쳐 연구한 분할주의 이론의 형성과 완성의 과정을 동시에 보여준다. 이 작품을 두고 평론가 페네옹(Felix Feneon, 1861~1944)은 인상주의 화가들이 색채를 본능적인 직관에 따라 분해한 데 반해, 점묘파 또는 점묘주의 화가들은 최대의 광휘성을 표현하기 위해 색조를 의식적으로 과학적으로 분할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시냐크(Paul Signac, 1863~1935)는 점묘파라는 명칭을 거부하고 분할주의라는 용어를 주장했다. 시냐크는 분할주의는 미학적 개념이며, 점묘주의는 기법적인 용어라는 점에서 분할주의를 주창했다.


피사로의 작품 ‘농가’.
피사로의 작품 ‘농가’.


삼원색의 순도·밝기 유지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색채는 과학이었다. 태양 빛에 드러나는 자연은 삼원색이나 1차 혼합색으로 가득 찬 공기 같은 것이었다.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7가지 원색으로 분해되고 이들은 다시 빨강, 파랑, 노랑이라는 삼원색으로 환원되며 이 삼원색이야말로 모든 색의 원형이다. 그리고 이를 섞으면 섞을수록 밝기를 잃고 탁해져 종국에는 검정에 가까워진다.

그래서 점묘파들은 삼원색의 순도와 밝기를 유지하기 위해 중간색이 필요할 경우 색을 팔레트에서 개어 만들기보다 원색과 원색을 대비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들 그림의 대상은 모두 미세하게 작은 점으로 분할됐고, 분할된 점마다 원색이 번갈아가며 칠해졌다. 오늘날 디지털 사진처럼 픽셀로 나뉘고 픽셀마다 각각의 색이 칠해져 눈을 통해서 혼합되는 방식은 점묘파에서 빌려 온 것과 같다.

이런 기법은 영국의 컨스터블이나 프랑스의 들라크루아도 사용했지만 이를 주로 사용한 이는 모네나 피사로였다. 그리고 쇠라는 이를 체계화했고 시냐크는 『외젠 들라크루아로부터 신인상주의까지』(d‘Eugene Delacroix au Neo-Impressionnisme, 1899)라는 저서를 통해 이를 널리 보급했다.

페티장의 ‘진 여인의 초상’.
페티장의 ‘진 여인의 초상’.


반 고흐·마티스·피카소 등에게 영향

이들의 미학적 관심은 과학적인 것과 맥을 같이하거나 그것보다 더 우월했다. 결국 이들에게 모더니즘은 과학 정신이자 과학이었다.

과학적이며 새로운 회화적 방법론이었던 점묘파는 인상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한 혁신적인 방법론으로 인상파의 장로라고 불리는 피사로는 물론 마네·쇠라·시냐크와 크로스(Henri Edmond Cross, 1856~1910), 페티장(Hippolyte Petitjean, 1854~1929) 등이 점묘파 화가로 활약했다. 이들은 반 고흐와 마티스(Henri Matisse, 1869~ 1954), 들로네(Robert Delaunay, 1885~1941),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3)에게 많은 영향을 줬다. 사진=필자 제공

<정준모 큐레이터>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