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국방광장

[강병문 국방광장] 육군의 드론봇 전투체계 이해하기

입력 2018. 11. 19   15:08
업데이트 2018. 11. 23   15:12
0 댓글
강 병 문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중령
강 병 문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중령

최근 발표된 ‘국방개혁 2.0’에 따르면 육군은 병력이 감축되고 수 개의 군·사단이 해체(개편)되는 반면 요구되는 임무와 역할은 오히려 다양해지고 확대돼 ‘작지만 강한 군대’로 거듭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육군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병력을 절약하면서도 전투능력은 획기적으로 증대할 수 있는 5대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전천후·초정밀·고위력 미사일, 전략기동군단, 드론봇 전투체계, 특수임무부대, 워리어 플랫폼)를 구상했다.

이 가운데 ‘드론봇 전투체계’는 드론봇을 활용해 전투원의 능력을 보완·대체해 전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아 전투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투체계다. ‘드론봇’이란 ‘드론’과 ‘로봇’을 합성한 신조어다.

육군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 당시 드론봇 전투체계를 제시한 이후 편성·전력소요 등 제반 관련분야를 발전시키고 공감대를 형성해 왔다. 그 결과 올해 3월에는 관련 전력 소요가 결정되고, 육군교육사령부 내에 ‘드론봇 군사연구센터’ 설치와 드론봇전투단 창설, 훈련장 신설 등 드론봇 전투체계의 전력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드론봇 전투체계가 전력화되면서 군 내·외부에서 일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드론봇 전투체계에 대해 제기된 의문을 해소하고자 한다.

먼저 국군조직법상 육군의 주 임무가 지상작전으로 명시돼 있어 ‘무인항공기인 드론을 육군에서 발전시키거나 운용하는 것이 법적으로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다. 이는 지상작전의 공간을 지표면만으로 한정해 해석한 오류로, 그런 해석이라면 육군은 헬기와 포병을 운용해서도 안 된다. 육군이 지상작전 수행을 위해 지·해·공중·우주의 영역을 사용해 적정 감시 및 타격, 기동하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이다.

둘째, ‘육군이 제대별로 드론을 보유하겠다는 것은 중복과 낭비요소가 많다’는 주장이다. 이는 육군의 작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오해로, 제대별 부여된 책임지역을 감시하고 타격하기 위해 제대별 각각의 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사단의 경우 제주도 면적 크기의 책임지역에 소형 헬기보다 작은 드론 한 대를 운용하는 것인데 어찌 많다고 할 수 있겠는가?

셋째, ‘육군은 드론 운용경험이 전무하고 공역통제 및 주파수 획득 등 운용준비가 미흡해 시기상조가 아닌가?’라는 의문이다. 이것도 명백한 오해다. 육군은 1990년 말부터 지금까지 20여 년 동안 군단급 드론을 운용해 오면서 한반도 지형에 적합한 드론 운용 노하우를 축적했고, 첨단장비를 이용한 육군 공역통제체계 구축을 이미 추진하고 있다. 또한, 기존 드론 주파수 재사용과 향후 다중 플랫폼 영상정보용 공용 데이터 링크 체계(MPI-CDL)의 기술발전을 고려해보면 주파수 문제도 충분히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육군의 드론봇 전투체계는 드론과 로봇, 인공지능 기술을 국방에 접목해 국방개혁 2.0을 구현하고 육군을 도약적으로 변혁하는 방향임을 인식하고, 더 이른 시기에 더 잘 발전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