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선
48가구 주민 203명… 6·25 이전부터 거주
대성동 마을은 DMZ 내에 위치한 유일한 ‘자유의 마을’이다. 정전협정 당시 양측이 합의한 ‘남북 비무장지대에 각각 1곳씩 마을을 둔다’는 규정에 따라 마을이 탄생했다. 북측은 기정동 마을이 그곳이다.
대성동은 우리 정부가 아닌 유엔군사령부가 관할권을 가진다. DMZ에 위치하며 북한과 불과 1.8㎞ 거리에 있다는 위험성에 주민들에겐 일반 국민과 다른 혜택이 주어진다. 주민세 납부는 물론 가정에서도 전기와 전화요금을 제외한 모든 세금이 면제된다. 거주 주민 중 남자들은 병역 의무도 면제가 된다. 현재 마을에는 48가구 203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주민 대부분은 6·25전쟁 이전부터 이곳에서 거주하던 사람들과 그들의 직계자손들로 구성돼 있다.
마을 사람들이 외부로 이주하는 것은 비교적 자유롭지만 그 반대는 여자가 시집을 오는 경우로 제한한다. 주민들은 1년 중 적어도 8개월 이상 거주해야만 주민권이 유지된다. 이를 어기면 주민권이 상실되지만 단 중·고등학생이나 대학생들은 이 ‘8개월 거주원칙’에서 제외된다. 대성동에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각각 한 곳씩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농사로 생계를 유지한다. 북과 근접한 위험성에 농업 활동 시 JSA경비대대원들이 주민 경호를 맡는다. 비록 DMZ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대성동에도 대중교통이 운행된다. 93번 버스가 마을과 인근 도시를 이어준다. 하루 세 번 운행하는 버스는 남방한계선 검문소와 유엔사 JSA대대를 통과하며 마을사람들의 발이 돼 주고 있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DMZ 이야기]
살아 있는 ‘자연의 보고’ 세계인 찾는 생태공원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지역이자 남북 간 대결과 불신의 상징인 DMZ. 한반도 자연생태의 보고이기도 한 이곳을 통일로 가는 평화의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DMZ 내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한 같은 면적, 1㎢ 규모의 지역에 남·북한 주민은 물론 세계인들이 방문할 수 있는 친환경 생태공원을 만드는 것이다. 남북 간 정치·군사적 신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경제·환경·문화 등 다양한 차원의 대화와 협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평화공원이 성공적으로 꾸며진다면 ‘큰 통일’로 나아가는 디딤돌로 남북관계에 획기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5월 미 의회 연설에서 정부 차원의 구상안을 처음 발표했고 같은 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북한에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제의했다.
박 대통령은 2014년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남북 주민들이 자연과 어우러져 소통할 수 있는 생명과 평화의 통로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겠다며 그 의지를 다시 한 번 밝힌 바 있다.
파주·연천·고성·철원 “우리가 평화공원 최적지”
통일부가 상징성과 역사성, 접근성 등을 고려해 입지선정 원칙을 밝힌 가운데 DMZ 인접지역 지자체들은 각각의 이유로 세계생태평화공원 유치에 뛰어들었다.
경기도 파주시는 수도권과 가깝고 남북으로 이어지는 최상의 교통망,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과 임진각 등이 위치함을 들어 평화공원 최적지라고 주장한다. 동부전선 최대 격전지이자 DMZ 박물관, 해금강과 구선봉, 금강산 관광지 등 다양한 생태·관광자원을 보유한 강원도 고성군도 평화공원 유치에 적극적이다. 남
북대결의 상징성이 높은 강원 철원군은 풍부한 역사문화자원과 자연생태환경에 DMZ의 중간지점이라는 점을 더해 입지의 우수성을 강조한다. 경기 연천군 역시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고 강원도와 경기도의 접경지역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평화공원 유치를 위해 뛰고 있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