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고대동아시아세계대전

<28>토번의 등장

입력 2011. 07. 20   00:00
업데이트 2013. 01. 05   07:00
0 댓글

거지떼 같은 군단 “唐 나와” 中 대륙에 불호령


638년 7월 27일 사천성 송주에 토번(吐藩: 티베트)군이 쳐들어왔다. 중원을 통일하고 초원을 제압한 당 태종으로서는 별 볼일 없는 토번의 침공은 어이가 없는 일이었다. 그가 보기에 토번인들은 너무나 미개한 종족들이었다. 당시 티베트인들은 상상도 못할 정도로 더럽게 살았다. 평생 동안 머리를 빗거나 목욕을 하지 않았다. 술잔이 없어 맨손으로 손을 모아 술을 마셨고, 더러운 털로 짠 모전(氈)으로 밥상을 삼았다.

  토번의 군대도 졸속으로 조직돼 있었다. 하지만 그 `거지' 같은 군대가 심상치 않았다. 험준한 요충지에서 철옹성 같은 요새를 지키던 중국의 국경수비대조차도 그들 앞에서 아무런 힘을 쓰지 못했다. 당나라의 도독 한위의 기병사단은 패배했고, 당나라 휘하에 있던 티베트계 강족(羌族) 변경수비대장들은 겁을 먹고 싸울 생각도 못했다. 염주자사 별총와시와 낙주자사 파리보리가 군정 지역과 현지인 병력을 들어 토번군에게 붙었다.
티베트의 라싸에 위치한 포탈라 궁이다. 토번제국의 왕 승?칸포(581~649)가 최초로 세웠다.                      필자 제공

라싸에 있는 녹동찬의 목상. 그는 649년 승?칸포가 죽고 어린
 손자가 즉위하자 토번의 권력을 잡았다.              필자 제공

 토번은 이렇게 현장에서 새로 얻은 병력들을 다음 전장에 앞장 세웠다. 군령은 엄했다. 그들은 죽을 때까지 싸워야 했다. 뒤에 진을 치고 있는 토번군은 팔짱을 끼고 있었고, 뒤돌아서 후퇴하는 자들을 모두 죽였다. 그들은 장기판의 졸(卒)과 같았다.

 ‘화살받이’들은 전진만 해야 했다. 그들이 다 소모된 후에야 토번군 본대의 차례가 돌아왔다. 토번은 병력을 외부에서 포획해 전쟁을 했다. 그 본대의 병력 대부분도 직전 토욕혼 지역을 공격해 산 채로 잡은 당항(黨項)과 백란(白蘭) 사람들이었다.

 토번은 전쟁을 하면 병력이 소모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포획된 인간집단을 부리는 기술이 탁월했다. 토번군은 원초적인 힘과 포획조직의 시스템 그리고 포획 자원의 운용기술이 어우러진 ‘전쟁기계’였다.

전쟁은 어처구니없는 일로 시작됐다. 이야기는 4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634년 토번은 당에 최초로 사신을 파견했다. 중원에 등장한 영웅적인 군주 태종에 대한 호기심이 동기였다. 인도 북부와 인접한 라싸에서 온 토번 사절은 장안에서 환대받았다.

 여기에 대한 당 측의 답방도 있었다. 당 태종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풍덕하(馮德遐)를 라싸에 파견했다. 당 태종이 토번에 대해 가졌던 선입관은 그곳을 여행하고 귀국한 풍덕하의 보고에서 비롯됐던 것으로 생각된다.

 토번왕도 풍덕하를 통해 당나라 주변 세계의 여러 정보를 접했다. 그 가운데 그가 유독 귀담아들은 것은 돌궐과 토욕혼에도 당 황실의 공주가 시집을 갔다는 사실이다. 풍덕하가 귀국하는 길에 토번의 사절이 따라나섰다. 상상치도 못한 황금과 보석이 사절을 따라갔다. 636년에서 637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이 아닌가 한다.

 장안에 도착한 토번 사절은 당 태종을 만나 국가 간 통혼을 제의했다. 자기 기준으로는 ‘더럽고 미개한’ 토번인들을 마음속으로 경멸하고 있는 당 태종은 불쾌했으리라. 하지만 그 자리에서 표시를 내지 않았다. 결정적인 대답은 미루고 의례적인 좋은 말만 오고 갔다.

 마침 토번의 사절이 당 태종의 확답을 기다리고 있는 그 시점에 토욕혼왕 낙갈발이 당 조정에 도착했다. 그는 635년 당 태종이 토욕혼을 공격하고 몰아낸 모용복윤의 적자 모용순의 아들이다.

 토번 사절은 통혼을 거절당했다. 통혼을 성사시키라고 엄명을 받은 토번의 사절단장은 앞이 보이지 않았다. 이대로 돌아가면 그 잔인한 토번왕에게 처형을 당할 수도 있다. 그는 통혼 제의가 거절당한 것이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는 결정적인 건수를 찾아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신당서’는 이렇게 전하고 있다. “사신이 돌아가 (토번왕에게) 망령되이 말하길 천자가 저를 후하게 대우해 거의 공주를 얻을 뻔했는데, 토욕혼의 왕이 입조하더니, 마침내 황제가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사신은 모든 잘못이 토욕혼에 있다는 말을 들은 토번왕은 토욕혼을 바로 공격했다. 토욕혼은 버티지 못하고 청해호 북쪽으로 도망을 쳤다. 토욕혼이 이렇게 일방적으로 당한 것은 635년 당의 공격을 받고 기존의 국가시스템이 무너졌기 때문이었다. 당의 팽창과 서역 여러 나라의 정복은 그들이 가진 모든 자생력을 붕괴시켰고,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이 토번이 팽창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됐다.

 638년 토욕혼에서 병력과 병량으로 쓸 가축을 약탈한 토번군이 당의 송주 서쪽 경계에 나타났다. 토번은 사신을 파견해 당나라 관리에게 의사를 전달했다. “우리 토번왕께서는 당 황실의 공주를 원합니다.” 당 측에서 대답이 한동안 없자 토번군이 진격을 시작했다.

 토번군 20만은 한눈에 봐도 ‘거지 떼’였다. 누더기 같은 가죽 털옷을 걸친 그들은 종족·무기 어느 하나 통일된 것이 없었다. 하지만 세상의 어느 군대보다 군기가 바짝 들어 있었다. ‘공포’가 그 원천이었다.

 당황실의 공주를 맞이하겠다는 토번왕의 의지는 누구도 막지 못했다. 결정권자인 당 태종도 예외가 아니었다. 굶주린 토번군이 조직적인 약탈을 시작하자 638년 8월 27일 당 태종은 5만 군대를 송주로 파견했다.

 9월 6일 당군이 전장에 도착했을 즈음 토번군이 송주성 공격을 시작한 지 10일이 지난 뒤였다. 원군을 기다리며 성은 잘 버티었다. 당의 장군 우진달은 공격 기회를 기다렸다. 토번군의 한 부대가 성을 공격하다가 해가 떨어져 병영에서 쉬고 있을 때였다. 우진달이 기병을 이끌고 토번군을 야습했다. 토번군 1000명이 전사했다.

 토번왕은 여기서 잠시 싸움을 중단했다. 세에 밀린 것도 아니고 전사자 수 때문은 더더욱 아니었다. 당군에게 맞아 죽은 병력은 자신의 전체 군대의 200분의 1에 불과했다. 군대를 동원해 자신의 존재를 당 태종에게 충분히 알리고, 당황실의 공주를 주지 않으면 전쟁을 확대하겠다는 메시지가 전해졌으면 됐다.

 토번군의 침공은 효과가 있었다. 토번왕이 군대를 돌리면서 사절을 파견해 다시 통혼을 청했다. 생각지도 못한 강적을 서쪽에 두고 있었던 것을 감지한 당 태종도 생각이 달라졌다. 그의 주적은 아직 동쪽에 버티고 있는데 향후 서쪽에서 토번과 소모적인 전쟁을 하게 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요동의 패전과 수제국의 멸망 그리고 이어진 동란 속에서 청춘을 보낸 그는 고구려를 제거하지 않고서는 자신이 세운 제국이 어떠한 위협에 처할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역사 속에 박힌 가시 고구려를 뽑아내기 위해서는 서쪽의 안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그는 토번과의 혼인동맹을 선택했다.

 640년 겨울 10월 23일 황금 5000량과 그 외 막대한 결혼 예물을 지참한 토번사절단이 장안에 도착했다. 사절단장은 토번의 최고위 장성인 녹동찬(東贊)이었다. 당 태종은 그가 앞으로 토번을 이끌어 갈 실력자로 성장할 인물임을 한눈에 알아봤다.

 본능적으로 전략적인 사고를 하는 당 태종은 녹동찬에게 당장 황실의 공주를 주겠다고 했다. 너무나 매력적인 제안이었다. 하지만 당 태종의 의도를 간파한 녹동찬은 정중히 사양했다. “주군이신 승?께서도 아직 당 황실과 혼인이 성사되지 않았는데 제가 어찌….” 만일 그가 당 태종이 내민 미끼를 덥석 물었다면 어떻게 됐겠는가? 당황실의 공주는 토번에서 단 한 사람만 소유할 수 있는 특권의 상징이었다. 녹동찬은 토번왕 승?칸포의 질투를 사 제거될 것이 뻔했다.

<서영교 중원대 박물관장>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