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완결 인터넷강좌

인터넷 시작합시다〈51〉

입력 2001. 04. 26   00:00
업데이트 2013. 01. 04   23:21
0 댓글
리눅스 구하기란 설치에 필요한 배포판을 선택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리눅스는 공식적으로 제공되는 형태는 없으며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공급되는 형태가 많다. 이들 배포판들은 인터넷의 FTP와 BBS에서 메일을 통해 디스켓이나 백업 테이프(Backup Tape), 시디롬(CD-ROM) 형태로 구할 수 있다. 배포판의 종류는 지난 회에 이미 소개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리눅스 설치 디스켓을 얻는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과 시중에서 판매 또는 무료로 배포되는 CD-ROM을 구하는 것이다. 인터넷에 접속해서는 익명(anonymous)의 FTP를 통해 얻는다.

대부분 디스켓 이미지들을 다운로드받아서 `RAWRITE.EXE'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부트 디스켓(Boot Diskette)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리눅스를 부팅할 수 있다.

어떤 배포판들이 비록 하드디스크의 MS-DOS 파티션으로부터 리눅스를 인스톨할 수도 있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는 플로피(Floppy)로부터 직접 인스톨된다. 어떤 배포판은 네트워크상의 TCP/IP로, 또는 MS-DOS 포맷 형식의 플로피로부터 인스톨되기도 한다.

인터넷이나 BBS에 접근할 수 없다면 디스켓, 테이프, CD-ROM의 형태로 우편주문이 가능하다.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하기 전에 자신의 하드웨어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리눅스 커널과 호환되는 하드웨어와 선택한 리눅스 배포판이 지원하는 하드웨어가 아니라면 설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해당 배포판이 지원하지 않는 하드웨어라 하더라도 리눅스 커널이 호환되는 것이라면 설치 후에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이나 커널 컴파일 과정을 통해서 이를 인식시킬 수 있다.

초보자에게 가장 좋은 방법은 커널차원의 호환성과 해당 배포판이 지원하는 하드웨어를 선택하는 것이다. 자신의 하드웨어 정보파악 리눅스와 하드웨어와의 호환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의 종류를 현재 실행하고 있는 윈도의 제어판을 이용해 파악한다. 윈도 안에 있는 제어판을 클릭한 후 그 안의 시스템 항목을 선택하면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윈도에서 하드웨어 정보를 파악하려면 윈도 안의 내컴퓨터를 클릭하고 그 다음 제어판을 선택한 후 시스템을 클릭한다. 그러면 일반, 장치관리자, 하드웨어 초기화 파일, 성능이라는 다섯가지 항목이 나오는데, 일반을 클릭해 CPU 종류 및 메모리 크기를 알아본다.

그러면 화면 하단에 CPI 종류(Pentium II Process)와 메모리 크기가 보이며 그 다음 장치관리자를 클릭하면 다양한 하드웨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운드카드에 관한 정보는 사운드, 비디오, 게임컨트롤러 항목 안에 들어있으며, 그래픽카드는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클릭하면 그 종류를 알 수 있다. 랜카드 정보는 네트워크 어댑터에 있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