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국방안보

5만8000여 개 훈장, 주인 찾는 그날까지

이주형

입력 2016. 06. 23   16:47
0 댓글

무공수훈자 훈장 찾아주기 활동 동행기


무공수훈자 소재 파악 최우선

현장 나가면 1000㎞ 다녀야 “이분 아십니까?”

직접 탐문 행정망 이용 제한 큰 아쉬움

 

 


 

 

 



6·25전쟁을 맞아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인 조국의 자유와 평화,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을 던진 참전용사들. 그들의 헌신과 희생은 조국을 지키고 세계적인 나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그리고 조국은 이 같은 공로를 기려 그들에게 무공훈장을 수여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그 수가 16만여 개. 하지만 이 중 주인을 찾은 훈장은 10만여 개밖에 되지 않는다. 군은 아직도 남아있는 5만8000여 개의 훈장을 당사자에게 돌려주기 위해 땀을 흘리고 있다. 그 현장을 살펴봤다.



 

 

 

상훈 DB에 병적 DB 가미

충청남도 계룡시청. 육군본부 인사사령부 인사처리과 최효영 원사(진)가 들어섰다. 반갑게 인사를 나눈 뒤 민원팀의 비어 있는 자리에 앉은 그는 팀장 조원숙 씨의 도움을 받아 모니터를 통한 주소 추적에 나섰다. 대법원의 제적 시스템을 활용해 호주명과 사망자에 대한 제(호)적 및 색인부를 조회하는 것. 색인부는 개인별·세대별로 작성되는 주민등록표다. 호(제)적과 색인부, 모두 한자로 기록돼 있어 쉽게 읽히지 않는다. 손글씨 특유의 흘려 쓴 글씨체와 익숙지 않은 예전의 서류 양식, 더욱이 모니터로 보다 보니 눈이 금세 피로해진다.

“현장에 가기 전에 사전작업으로 무공수훈자 성명, 생년월일, 사망일, 주소, 유가족 성명 등을 확인하는 것이죠.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것입니다. 요즘은 전산화가 잘돼 있어 대상자의 성명과 주소지의 군·면·리까지 기록돼 있으면 어느 정도 소재 파악이 되는데 문제는 성명만 또는 주소가 면까지만 있는 경우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조회가 안 됩니다. 천생 대상자가 살고 있는 군청이나 면사무소로 가서 일일이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이 있다. 현장에 나가기 전에 자료를 최신화하는 것이다. 군번과 성명, 훈격 등이 담긴 상훈 DB를 기초로 병적대장과 거주표, 순보철, 입원대장, 병상일지, 확인발령대장, 전사자명부, 매화장보고서 등 8종의 병적 DB를 비교해 새로 작성한다. 여기에 군번이 틀린 것, 성명을 잘못 기록한 것,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른 주소 변경(강원 명주→강원 강릉) 등도 확인해 포함한다. 이 작업만 해도 2~3주가 걸린다.



매달 3박4일 현장 작업…소재 파악 위한 행정망 ID 필요해

훈장 찾아주기의 현장 작업은 매달 이뤄진다. 4명이 2인 1조로 인접한 2개 시·군을 선정해 직접 확인한다. 선정 기준은 100~200여 명의 대상이 있는 시·군이다. 3박4일간 그 지역에 있는 30여 개의 군청 또는 면사무소를 들러야 한다. 다니는 거리만도 1000㎞에 이른다.

사실 현장에서 대상자를 찾는 작업은 보통 손이 가는 게 아니다. 예전에는 호주제를 실시했고 또 6·25전쟁 당시에는 참전용사들의 나이가 어려 아버지가 거의 호주였기 때문에 대상자 본인이 아닌 아버지의 것으로 찾아야 한다. 면사무소 한 군데에 대상자가 20여 명 정도 있다면 조회에만 2~3시간 걸린다. 그래도 미심쩍은 부분이 있으면 마을까지 가서 이장이나 가장 연장자분을 찾아서 혹시 이분 모르시느냐고 탐문한다. 현장에 나가면 한 분이라도 더 찾을 수 있어서다. 이렇게 해서 찾는 확률은 대략 40% 선. 올해의 경우 5월 말 현재 862명을 확인했다.

다만, 안타까운 것은 대상자들의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행정망을 이용할 수 있는 ID가 부여되지 않았다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행정기관 실무자의 PC와 개인 ID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사업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개인정보보호법을 근거로 잠깐이라도 ID 빌려주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는 일부 관계자들 때문에 난감함을 겪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어쩔 수 없이 다시 계룡시청에서 행정망을 통해 조회하거나 군청에 위임해 찾아달라고 하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 최 원사(진)의 말이다.


충남 계룡시 두마면에서 육군 인사사령부 최효영 원사(진)가 참전유공자 김동수 옹을 만나 탐문활동을 하고 있다.

 

 

 


연간 2000여 명 확인…사단장 주관 행사 등을 통해 훈장 전달

대상자를 확인하면 훈장을 전달해야 한다. 무공훈장과 훈장증서가 한 세트. 여기에 부상으로 국방부 장관 명의의 손목시계가 추가로 주어진다. 1차로 전화해 본인임을, 만약 대상자가 돌아가셨으면 수권자인 부인이나 자녀에게 확인받는다. 그리고 대상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관할지역 사단장 주관하의 전수 행사나 또는 참석 여건이 되지 못하는 분들께는 방문과 우편을 통해 훈장을 전달하도록 한다.

훈장 찾아주기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육군본부 인사처리과장 손승호 대령은 “민원과 출장에 의한 현장 작업 등으로 연간 2000여 명의 대상자를 확인해 훈장을 전달하고 있다”며 “국가를 위해 헌신한 참전용사들의 명예를 선양하는 뜻깊은 사업인 만큼 가용 인원을 최대한 활용해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은?>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은 6·25전쟁 당시 혁혁한 전공을 세워 무공훈장 가수여증과 약장을 수여하고 명령은 발령했으나 훈장증서 및 메달을 받지 못한 수훈자를 탐문해 수여함으로써 국가유공자 명예선양에 기여하기 위해 진행됐다.

우선 1955년부터는 현역복무 인원을 대상으로 훈장을 교부했다. 이어 1961년부터 육군본부 상훈위원회를 구성해 전역자를 대상으로 교부했다. 본격적인 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한 것은 1966년부터. 관보와 각 언론매체 등을 통해 대대적인 홍보활동을 했다. 특히 2008년부터는 각 사단마다 무공훈장 찾아주기 TF도 운영했다. 2013년부터는 육군본부 담당과에서 자체 탐문활동을 하고 있다. 수여된 무공훈장은 총 16만2950개며 이 중 지난해까지 10만3903개가 참전용사들에게 전달됐다. 수여율은 대상 인원 대비 63.8%에 이른다.


이주형 기자 < jataka@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