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지난달부터 조달 어려운 부품 제작…창조국방 대표사례로
국방부가 3D 프린팅으로 단종 수리부속을 생산해 창조국방을 실현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우리 군이 운용 중인 다양한 무기체계 가운데 상당수는 수리부속을 해외에서 조달하는 경우가 많고, 도입시기가 오래돼 단종된 부품도 있어 획득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우리 군은 디지털 디자인 데이터를 이용해 소재를 층층이 쌓아 물체를 제조하는 3D 프린팅 기술로 부품을 직접 제작해 쓰자는 아이디어를 도출해 지난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 중이다.
국방부는 3D 프린팅 기반 활동 여건 보장과 기반 확대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지난 5월 3D 프린팅 국방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방전문 인력을 양성 중이며, 산업통상자원부 충청권 제조혁신지원센터를 통해 국방·로봇분야 3D 프린팅 산업 지원을 7월부터 추진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미래부와는 육·해·공군과 해병대, 국직부대 등 인력 49명에 대한 3D 프린팅 제작생산 전 과정 전문교육을 진행 중이며, 산업부에서는 올해 12억6000만 원 등 2019년까지 예산지원을 받고 있다.
앞으로 육군은 11월부터 육군종합정비창에서 3D 프린팅을 활용해 조달애로·단종 부품 생산 시범사업을 2016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공군의 경우 이미 2012년부터 제작사와의 협업을 통해 KF-16·F-15K 엔진정비 시 3D 금속프린팅 재생 기법을 적용한 수리부속 재활용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비행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은 물론 매년 7억 원의 예산절감과 40일 이상의 조달기간 단축 성과를 거둔 바 있다.
국방부는 육·공군의 시범생산 성과를 분석해 2017년부터 군내 3D 프린팅 활용기반을 구축하고, 개발된 기법을 방산 중소기업에 제공하는 등 확대 전략을 수립·추진한다.
국방부 관계관은 “3D 프린팅 활용은 창의성과 최신 과학기술을 국방업무에 융합하는 창조국방의 대표적 사례”라며 “향후 장비 가동률 향상과 국방경영 효율화, 민·군 협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철환 기자
< droid001@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