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공격 국가안보까지 위협미·중·러시아 등 사이버戰 전담 기구 구축

모 국가 전역의 원자력발전소에 대규모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이 시작됐다. 곧이어 약화된 방화벽으로 악성코드가 침입해 원전의 통제시스템을 마비시켰다. 원전 안전시스템이 고장을 일으키자 원자로의 노심이 고열로 녹아내려 대량의 방사능이 공기 중으로 유출되면서 엄청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국가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가져올 수 있는 치명적인 상황을 묘사한 가상 시나리오로, 사이버 공간을 통한 공격행위가 국가안보와 직결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주요 방송사와 금융기관이 사이버 공격으로 큰 피해를 당한 가운데 국방부가 21일 공개한 사이버전 관련 자료에 따르면, 1999년 코소보 분쟁에서 처음으로 해킹이 활용된 이후 단순히 소규모 범죄로만 치부되던 사이버 공격은 한 국가의 안위까지 뒤흔들 수 있는 전쟁 수단으로 변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위험성에 따라 미국과 중국·러시아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국가적인 사이버전 전담 기구를 구축하고 있다.
미국은 국토안보부와 국토안보회의, 사이버안보담당 대통령 특별보좌관, 대통령 주요 기반 보호위원회 등이 연계한 국가 사이버안보 대응체계를 마련해 두고 있다.
미군 역시 1996년 미 국방부 국가안보국(NSA)과 FBI를 중심으로 사이버 부대를 구성한 바 있으며, 2009년 4성 장군의 지휘를 받는 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하고 육군에서도 중장이 지휘하는 육군 사이버사령부가 2010년부터 활동을 시작해 사이버전에 대비 중이다.
미국 외에도 중국과 인도가 수준 높은 사이버전 수행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러시아와 이란·파키스탄·북한도 사이버전에 대한 준비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사이버전에 대비하는 국가들은 이미 핵을 보유하고 있거나 핵개발을 시도 중인 국가들과 일치한다”며 “사이버 공격능력도 핵과 같은 전략적 무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큰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전망을 했다.
또 이 관계자는 방송사·금융사 전산망 마비 사태와 관련해 “우리 군도 여러 기관과 함께 누가 했는지 추적하는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며 “만약 북한의 소행으로 밝혀진다면 우리 군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대응책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철환 기자
< droid001@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