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트럼프의 새로운 대북전략에 쏠리는 관심

로이터 “직접 대화 재추진” 인용 보도 우크라전쟁·불법 체류 등 현안 산적 실현까지 적지 않은 장애물 존재 중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이 북미 정상외교 재추진을 검토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함에 따라 한반도 정세에 ‘트럼프발 지각변동’이 일어날지 주목된다.로이터는 트럼프 당선인 측이 트럼프 당선인과 북한 김정은 간 직접 대화 추진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26일(현지시간)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 보도했다. 트럼프팀은 이런 새로운 외교 노력을 통해 북한과 무력 충돌 위험을 줄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과 김 위원장은 2018~2019년 싱가포르와 베트남, 판문점에서 세 차례 만났다. 트럼프 당선인은 집권 1기 때 북미 정상외교에 깊이 관여한 알렉스 웡 전 대북특별부대표를 차기 백악관의 국가안보 수석 부보좌관으로 최근 발탁함으로써 북미 대화에 의지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는데, 이번 보도는 그에 힘을 싣는 것이었다. 그러나 북미 정상회담이 실현되기까지 적지 않은 장애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중평이다. 우선 트럼프팀이 북미정상외교를 검토한다고 하더라도 우크라이나전쟁과 중동전쟁 등 다른 더 시급한 대외 현안이 있고, 취임 첫날부터 시작하겠다고 공약한 불법체류자 추방 등 우선순위로 내세운 국내 현안도 많다. 김 위원장이 ‘동맹국’인 러시아와 각을 세우고 있는 미국과 정상회담을 하겠다고 나서는 결단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이가 많다. 그러나 만약 트럼프 당선인이 공언한 대로 우크라이나 전쟁을 조기에 종결짓고, 미·러 관계를 개선할 경우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러시아로서는 전쟁이 종식되면 지금처럼 북한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상황이 아니게 되고, 그 경우 김 위원장으로서도 외교 다변화를 모색함으로써 국제무대로 나갈 기회를 모색하려 할 수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북핵·미사일 위협을 관리하는 수준 이상의 ‘큰 그림’을 그리고 있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미·러 관계 개선 흐름에 북한까지 엮고, 중국은 압박과 디커플링(무역 및 공급망에서의 특정국 배제)으로 몰아세우는 ‘갈라치기’ 전술을 구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대 전략경쟁 상대인 중국 견제에 ‘올인’(다걸기)할 수 있는 국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러시아와 관계를 개선한 뒤 북한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연합뉴스

국내·외

3분기 출생아 6만 명 훌쩍…12년 만에 최대폭 증가

2개 분기 연속↑·작년 동기 比 8%↑ 연간 출생아 수도 9년 만에 반등할 듯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혼인 증가가 출산으로 이어지면서 3분기 합계출산율이 8년여 만에 반등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9월 인구동향’을 보면 올해 3분기 출생아 수는 6만1288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23명(8.0%) 증가했다. 2012년 4분기(5102명) 이후 약 12년 만에 가장 큰 폭 증가다. 분기 출생아 수는 2개 분기 연속 증가했다. 지난 2분기 691명 늘면서 2015년 4분기 이후 34개 분기 만에 증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가 늘면서 합계출산율도 0.76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늘었다. 합계출산율도 2015년 4분기 이후 처음 반등했다. 30대 초반에서 출산율이 6.6명 증가하면서 증가세를 주도했다. 2015년 4분기 1.15명이던 합계출산율은 올해 1분기(0.76명)까지 하락하다가 2분기(0.71명) 작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런 흐름이 유지되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모두 9년 만에 플러스로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9월까지 누적 합계출산율은 0.74명으로 통계청이 지난해 장래인구추계를 통해 추산한 올해 합계출산율(0.68명)을 웃돈다. 9월까지 누계 출생아 수는 17만86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다. 9월 누계 출생아 수가 늘어난 것도 2015년 이후 처음이다. 9월 출생아 수는 2만590명으로 1년 전보다 1884명(10.1%) 증가했다. 올해 7월 이후 3개월째 증가세다. 출생아 수 기준으로는 2015년 3월(2308명) 이후, 증가율 기준으로는 2011년 1월(10.8%)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정부는 팬데믹으로 혼인이 지연됐다가 이후 몰려서 이뤄진 점이 출생아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윤석열 정부 이후 집중된 출산·혼인 지원 정책도 효과를 낸 것으로 평가했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혼인과 출산 관련 인식이 달라지는 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금 수준이 4분기까지 유지되면 합계출산율이 0.72명을 웃돌 수 있다”면서 “다만 합계출산율이 반등했지만 여전히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