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APEC 회원국, 제주서 ‘교육격차 해소’ 머리 맞댄다

교육장관회의, 13년 만에 한국서 개최 디지털 대전환 시대, 지속 가능성 모색 트럼프 정부 고위 당국자 11~17일 방한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교육장관회의가 13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한다. 교육부는 오는 13~15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역내 21개 회원 경제체제 교육장관과 대표단, 국내외 교육 분야 전문가 등 400여 명이 참석하는 ‘제7차 APEC 교육 장관회의’를 연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올해 APEC 의장국으로서 교육장관회의를 주재한다. 이번 APEC 교육장관회의가 열리는 것은 2012년 제5차 경주 회의에 이어 13년 만이다. 주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교육격차 해소와 지속가능한 성장 촉진’이다. 디지털 교육혁신을 통한 미래 교육 방향과 역내 공동 번영을 위한 글로벌 교육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14일 열리는 교육장관회의 총회에서는 ‘혁신’ ‘연결’ ‘번영’ 분과로 나눠 △인공지능(AI)과 디지털 대전환 △맞춤형 교육혁신 △글로벌 교육 협력과 기회 접근성 확대 △양질의 교육 강화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두고 토론한다. 이어 APEC 교육장관회의 공동성명서를 채택하고 기자회견을 한다. 마지막 날인 15일에는 APEC 대표단과 국내외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학교 현장 방문이 진행된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5일(현지시간), 미 정부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담당 고위 당국자가 11일부터 한국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미 APEC 담당 고위 당국자인 매슈 머레이 대사는 11~17일 제주를 방문해 APEC 관련 2차 고위급 회의(SOM2) 및 관련 회의에 참석한다고 국무부가 전했다. 미 국무부는 “SOM2 기간에 미국은 한국의 고위 당국자와 업계 리더, 아태지역의 다른 이해관계자 등과 협력해 가며 미국 우선주의 외교, 무역, 투자 정책을 진전시키기 위해 APEC을 지렛대로 계속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APEC 정상회의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의 참석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조아미 기자

국내·외

트럼프 이번엔 영화관세…백악관 “최종결정 아직”

‘할리우드 부활’ 관세 부과 지시했지만 OTT 포함 등 구체적 범위 애매 언급 없어 백악관 “모든 옵션 검토 중” 수습 나서미국 백악관은 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외국 영화에 대한 100% 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 “외국 영화 관세에 대한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날 USA투데이, 할리우드리포터 등에 보낸 쿠시 데사이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백악관은 그러면서 “정부는 할리우드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미국의 국가 및 경제 안보를 보호하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의 이런 입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방침에 비해서는 다소 후퇴한 것으로 보인다고 USA투데이 등은 분석했다. 나아가 백악관의 이런 입장은 외국 영화에 대한 관세를 어떻게 시행할지 혼란을 가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외신들은 평가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SNS에 올린 글을 통해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작업 중”이라는 반응을 올렸다. 그러나 관세 대상이 되는 외국 영화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도 포함되는지를 포함해 관세 대상의 구체적 범위에 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된 스포츠 관련 행사에서 외국 영화 관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영화) 산업 관계자들과 만날 것”이라면서 “나는 그들이 그것에 만족하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 영화산업은 다른 나라와 무능한 (민주당 소속 캘리포니아) 주지사에 의해 파괴됐다”며 “그것은 큰 산업이며 미국에서 시작됐지만 미국을 버리고 떠났다. 우리는 그것을 되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