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국방안보

AI, 나라 지킨다…국방 미래혁신 ‘가속도’

맹수열

입력 2017. 04. 11   13:49
0 댓글

국방부, 14개 활성화 방안 제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경계·감시임무 무인 지능화 작업에 가속이 붙고 있다. 국방부 정보화기획관실은 지난 7일 14개의 인공지능 국방적용 활성화 방안을 소개하며 “이달 말 GOP 및 중요시설 경계, 해·강안 감시임무 지능화·무인화를 위한 ‘국방 지능형 경계감시 시스템’ 연구개발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보화기획관실은 “‘머신러닝 기반 군 전력장비 정비수요 예측시스템’ ‘지능형 국방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체계’ 등의 연구개발(R&D)도 함께 착수한다”며 “복잡한 전투상황에서 적시적인 전술적 지휘결심을 지원하기 위한 ‘인공지능 지휘결심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올해 안에 정책연구를 통해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정보화기획관실은 감시정찰, 사이버전, 지휘통제, 인사, 군수, 의료 등 각종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국방경영을 효율화하고 전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력투구를 해왔다. 이날 제시한 인공지능 국방적용 활성화 방안은 창조국방의 혁신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국방 지능형 경계감시 시스템은 다중센서 융합 영상 생성기술, 날씨·조명변화 영상 보정기술, 객체변화 학습을 통한 이동물체 탐지기술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감시병력의 집중력 저하 등을 극복하는 동시에 날씨·조명변화에 따른 지능형 영상분석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국방부는 향후 GOP 및 중요시설 경계감시 시스템이 노후해 교체할 때 개발이 완료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머신러닝 기반 군 전력장비 정비수요 예측시스템은 군 전력장비에 관한 정비·운용 데이터를 활용, 인공지능 기반의 정비·수리부속을 예측하는 기술로 주요 전투장비에 대한 사전예측을 통해 적정 재고 유지 및 적절한 수리부속 유지가 가능해진다. 국방부는 K1 전차와 T-50 고등훈련기에 우선 적용한 뒤 단계별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능형 국방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체계는 진료기록 11억 건, 영상자료 125테라바이트(TB)에 달하는 방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진료·처방, 질병 예방, 전염병 예측, 신약·의료장비 개발 등 군 장병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다.

이외에도 감시정찰 항공 영상 정보를 딥러닝 기술로 분석해 제공하는 국방 지능형 감시정찰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백신체계, 인공지능 관제체계, 인공지능 교관, 인공지능 인사과장, 인공지능 고충상담 헬프콜, 인공지능 소형무인기 등 여러 분야에 인공지능을 접목하기 위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정보화기획관실은 그동안 창의성과 과학기술을 국방업무에 융합해 혁신적인 국방가치를 창출해 나가는 창조국방 구현을 위해 ‘정보화 기반 구축’ 분야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정보화기획관실은 “창조국방 구현의 토대는 정보화 기반 구축”이라는 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방 정보화와 정보화 기반 구축의 역할과 영역을 정립해 점진적 개선이 아닌 파괴적 혁신에 나섰다. 그 결과 ‘10대 핵심기술 융·복합 적용’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인력 양성’ ‘민·군 ICT 융합생태계 구축’ ‘병영 정보화 환경 혁신’ 등의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우선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사이버, 인공지능, 3D 프린팅, 드론, 가상현실, GPS·전지 등 10가지 핵심기술 융·복합 적용을 위해 기술별 시범사업을 선정·추진해 군 적용 가능성을 검증한 뒤 정책에 반영하는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특전사의 ‘대테러 작전용 이동형 지휘 시스템’ 등 IoT 환경에서 능동적인 정보수집·유통 및 기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각종 시범사업을 완료하고 체계별 시범운용을 하고 있다. 또 무선보안 정책개선과 빅데이터 기반 시범사업, 가상현실 기법을 적용한 실감형 교육, 사이버, 클라우드 등 혁신적 가치창출을 위한 과제를 선정해 추진하고 있다.

정보화기획관실은 “앞으로 검증된 ICT 신기술을 바탕으로 일선 부대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국방혁신을 위한 공감대 확산 및 국민 참여도 증진, 민·군 상호 가치창출을 위한 ICT 융합 생태계 구축 및 신기술 도입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맹수열 기자 < guns13@dema.mil.kr >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